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스쿨존이 ‘시속 30㎞’이어야 하는 까닭…어린이의 눈은 다르다

등록 2022-10-22 09:00수정 2023-04-10 14:57

[한겨레S] 우아영의 키작은 과학 ㅣ 어린이의 눈
시속 32㎞ 넘으면 속도 구분 못해
어린이보호구역, 스쿨존,. 그래픽_고윤결
어린이보호구역, 스쿨존,. 그래픽_고윤결

☞한겨레S 뉴스레터 구독신청.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얼마 전 아이의 건강검진 결과를 보고 깜짝 놀랐다. 생후 42~48개월에 받는 6차 영유아건강검진에서 처음으로 시력표를 이용한 시력검사를 하는데, 아이의 시력이 0.6이 나왔기 때문이다. 엄마 아빠가 둘 다 눈이 나빠 아이에게 평소 텔레비전은커녕 스마트폰 화면도 보여주지 않았건만,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하지만 이어진 소아과 전문의의 말은 반전이었다. 아기의 출생 직후 시력은 약 0.05로, 만 3살 때 대략 0.6에 도달한 뒤 만 8~9살에 비로소 시력 발달이 완성된다고. 즉, 현재 시력이 ‘정상’이라고 했다. 시력이란 것이 눈은 물론 대뇌피질과 중추신경계 등이 긴밀하게 협력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모든 구조물이 현재 부지런히 발달 중인 아이의 시력도 서서히 좋아지는 것이 당연했다. 하지만 나를 포함해 많은 부모가 이 사실을 모른다고 했다. 그리고 어른이 어린이의 눈과 관련해 모르는 게 비단 시력뿐만은 아니다.

자기 신체 작으면 물체 더 크게 인지

어렸을 땐 그토록 광활해 보이던 학교 운동장이 어른이 되어 다시 가보니 너무나 작아 보인 경험을 누구나 했을 것이다. 이런 일화는 신체 크기가 작은 관찰자일수록 사물을 더 크게, 신체 크기가 큰 관찰자일수록 사물을 더 작게 인식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저서 <과학과 방법>(Science and Method)에서 잠자는 동안 신체를 포함해 전 세계가 1천배 더 커지는 사고실험을 제안했다. 그 결과는? 잠에서 깬 뒤 이런 엄청난 변화를 눈치챌 사람은 없을 것이다. 푸앵카레는 그 이유로 “우리 몸이 좌표축 시스템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썼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의 신경과학자 헨리크 에르손 연구팀은 이 아이디어를 실제로 실험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실험 참가자에게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씌워 인형을 간지럽히는 모습을 실시간 촬영해 보여주면서 동시에 참가자의 몸을 간지럽히면, 화면 속 인형을 자기 몸이라고 착각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런 과정을 거쳐 실험 참가자들을 키 30㎝~4m의 다양한 인형을 자기 몸처럼 인지하게 한 뒤, 블록의 크기나 블록까지의 거리를 맞히도록 했다. 그 결과, 30㎝ 인형으로 실험한 사람들은 블록을 실제보다 더 크다고 추정했고 블록 간의 거리도 더 먼 것으로 평가했다. 4m 인형으로 한 사람들은 정반대였다. 블록을 더 작다고 느꼈고, 거리도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

움직이는 상황에서도 어린이는 어른과 다른 세상을 본다. 보통 일상생활에서 달려오는 자동차를 볼 때 보행자의 두뇌는 수직 고도, 즉 차의 높이 변화를 보고 속도와 거리를 추정한다. 만약 지형이 달라지면 상당한 오차가 생긴다. 도로 경사가 1°만 감소해도 시속 50㎞로 접근하는 차량의 높이는 실제보다 4배 더 먼 거리에 있는 자동차의 높이와 똑같아 보일 수 있다. 이런 오차를 다른 정보로 보정할 수 있어야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데, 어린이에겐 이런 과정이 결코 쉽지 않다.

영국 로열홀러웨이대 심리학과 존 완 교수팀은 6~11살 어린이 100여명을 대상으로 자동차가 달리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어린이가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접근 속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성인은 시속 80㎞까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던 반면, 어린이는 시속 32㎞보다 빠른 차는 얼마나 빠른지 제대로 알지 못했다. 이는 어린이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가 아니라, 시각적 감지 메커니즘의 발달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즉, 아무리 조심해도 빠르게 접근하는 차를 미처 보지 못할 수 있다.

어른이 보기에 엄청 빠르게 달려오는 자동차도 어린이의 눈에는 어쩌면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게 아닐까. 지금처럼 어린이보호구역의 제한속도가 자꾸 오르는 상황이라면, 어린이의 안전 의식을 오로지 교육을 통해 바꾸려는 노력은 한계가 뚜렷하다. 제한속도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눈으로 들어온 시각정보 결합 안 해

시각적 세계에 대한 경험이 근본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성인의 두뇌는 시각과 후각, 청각, 미각, 촉각 등 다양한 종류의 감각정보를 결합한다. 단일 감각만 사용할 때의 불확실성을 줄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다. 이를 감각 융합이라고 한다.

시각이라는 감각 하나만 쓸 때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실생활이나 3차원(3D·입체) 영화를 볼 때 두 눈의 망막에는 서로 다른 상이 맺히는데, 이를 ‘양안의 시차’라고 한다. 두뇌는 이 두 가지 상을 통합해 입체를 파악한다. 한쪽 눈을 감더라도 표면 무늬의 해상도, 즉 ‘질감’을 보고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모자이크를 눕히면 나와 가까운 쪽 네모는 크게, 먼 쪽 네모는 작게 보인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런던 버크벡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3D 안경을 씌운 뒤, 알록달록한 모자이크 같은 평면 두 개를 제시하고 어느 것이 더 평평한지 판단하게 했다. 이때 경사도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양안 시차와 질감이다. 실험에서는 두 정보를 모두 제시하거나, 둘 중 하나만 나타냈다. 그 결과 성인은 두 가지 정보가 다 있을 때 응답이 월등히 정확해진 반면, 12살 미만 어린이의 답은 유의미하게 나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두 번째 실험에서 양안 시차와 질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특수한 3D 원반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두 눈으로 보면 더 뉘어 있는 원반인데, 정작 모자이크를 이루는 네모들의 크기 분포를 살피면 마치 서 있는 원반과 같았다는 뜻이다. 그 결과, 성인은 이 원반의 경사가 기준 원반과 같은지 다른지 판단하는 데 서툴렀다. 성인 두뇌는 양안 시차와 질감 정보의 평균을 취하는 경향이 있는데, 상충하는 정보가 시각 체계를 혼란스럽게 했기 때문이다. 반면, 6살 어린이는 차이점을 알아차리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어린이의 두뇌는 감각 융합을 피할 수 있었다.

매일 아침 아이의 손을 잡고 유치원에 가는 길, 종종 무릎을 굽혀 앉아 눈높이를 맞춰보곤 한다. 기대와는 달리 앞에 보이는 나무까지의 거리나 높이 따위는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다. 위 연구에 따르면, 나무와 비교되는 나의 신체 크기가 그대로이기 때문일 것이다. 차라리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에피소드처럼 정체불명의 음료를 마신 뒤 몸이 작아지거나, 아예 거인국에 뚝 떨어지는 상상을 해보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아이의 시력은 0.6이고 서로 다른 정보를 두뇌 안에서 통합하지 않는 것까지 고려하면, 시각적 세계에 대한 아이의 경험은 나와는 꽤 다를 테다. 도대체 왜 코앞 담장 위에 앉아 있는 까치를 발견하지 못하는지, 이제야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과학칼럼니스트

육아를 하며 과학 관련 글을 쓴다. 과학 전문지에서 기자로 일했다. 저서로 <아기 말고 내 몸이 궁금해서>가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가장 정확한 ‘은하수 지도’ 나왔다…가이아 11년 관측 결실 1.

가장 정확한 ‘은하수 지도’ 나왔다…가이아 11년 관측 결실

‘은하철도 종착역’ 안드로메다 25억 화소 사진…별 2억개가 ‘반짝’ 2.

‘은하철도 종착역’ 안드로메다 25억 화소 사진…별 2억개가 ‘반짝’

42가지 질환 효과 ‘기적의 비만치료제’…부작용도 19가지 3.

42가지 질환 효과 ‘기적의 비만치료제’…부작용도 19가지

고혈압 잡는 ‘벽 스쿼트’…유산소 운동보다 2배 효과 4.

고혈압 잡는 ‘벽 스쿼트’…유산소 운동보다 2배 효과

‘수금월천화목토’ 한줄로…2040년까지 못 볼 6월의 ‘새벽 우주쇼’ 5.

‘수금월천화목토’ 한줄로…2040년까지 못 볼 6월의 ‘새벽 우주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