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부사 2호가 소행성 류구에서 채취해 수집한 암석 시료(왼쪽)와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시료 사진(오른쪽).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제공
2020년 말 일본의 하야부사 2호가 지구로 가져온 소행성 류구(용궁이란 뜻)의 표본 분석 결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류구는 지구와 화성 사이 궤도를 도는 지름 약 900미터의 탄소질 C형 소행성이다. 류구와 지구의 거리는 현재 2억4천만km이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작사)의 하야부사 2호가 2014~2020년 6년에 걸쳐 왕복 52억km를 날아 가져온 류구의 흙은 5.4g이었다.
일본 과학자들이 주도하는 140여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류구에서 가져온 시료를 극소량(전체의 2%) 떼내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분석된 초기 태양계 물질 중 가장 원시적인 상태의 물질로 밝혀졌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 결과 이 물질은 태양계 탄생 후 불과 520만년이 지난 시점에 생겨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이 시료가 태양계 천체들이 형성되기 전인 약 46억년 전 태양 주변을 맴돌던 먼지와 가스 원반의 구성 물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 태양계 형성 과정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하야부사 2호가 류구 표면에서 시료를 수집하는 장면 상상도. 위키미디어 코먼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류구에 도착해 1년 이상 궤도를 돌며 두차례에 걸쳐 표면으로 내려가 시료를 수집했다.
하야부사가 가져온 시료의 입자들은 밀리미터 단위로 아주 작은 것들이 대부분이며, 가장 큰 것은 1cm 정도였다.
이번 분석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류구의 시료가 1938년 탄자니아 이부나(Ivuna) 지역에 떨어진 작은 운석(700g)과 성분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CI 콘드라이트’라는 이름의 이 운석 유형은 지구 표면에서 발견된 수많은 운석 중 5개에 불과하다. C는 탄소질, I는 이부나를 뜻하며 콘드라이트는 암석질 운석을 가리킨다.
연구진의 일원인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사라 러셀 박사는 ‘뉴욕타임스’에 “초기 태양계의 유물인 탄소질 콘드라이트는 대부분의 소행성 궤도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태양계 바깥쪽에서 형성됐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했다.
CI운석은 칼슘 대비 나트륨, 황 비율 등 무거운 원소 구성에서 태양 표면(광구)과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이것이 초기 태양계가 어떤 물질로 이뤄졌는지, 그리고 천체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물질로 간주한다.
하야부사 2호의 카메라로 촬영한 류구. 위키미디어 코먼스
류구의 주요 구성 광물은 태양계 탄생 후 220만~400만년 시점에 생겼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름 수십km 모천체 속의 얼음이 녹은 물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생긴 2차 광물이다. 태양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얼음을 녹인 에너지는 태양열이 아니라 모천체 내부의 방사성 원소에서 얻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했다. 원래 있던 1차 광물이 모천체의 물과 반응해 변질(수질변성)됐고, 태양계가 탄생하고 나서 500만년 후 물은 증발했으나 2차 광물은 침전돼 남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소들의 상대적인 비율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그때의 온도가 40도, 압력은 0.06기압 이상이었을 것으로 계산됐다고 밝혔다.
그 후 모천체에서 소행성 류구가 떨어져 나왔고, 이후 오늘날까지 류구는 100도 이상 가열된 적이 없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시료에서 확인한 광물 성분들. 모두 모천체에서 수질변성된 2차 광물이다. 작사 제공
류구와 CI운석 성분의 일치는 예상과는 다른 것이었다. CI운석에는 많은 양의 물이 포함돼 있으나 류구의 표면은 대부분 건조했기 때문이다. 이부나운석에는 류구에는 없는 황산염도 있다. 연구진은 이는 운석이 대기권에 진입한 뒤 장기간 지구환경에 노출된 결과일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보도자료를 통해 “따라서 류구 시료는 운석을 포함해 지금까지 인류가 확보한 우주 표본 중 어느 것보다 가장 원시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앞으로 새로운 태양계 참조 물질로 국제적 연구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를 이끈 홋카이도대 유리모토 히사요시 교수(행성과학)는 “태양계 화학을 다시 써야 할 것”이라는 말로 분석 결과에 의미를 부여했다. 러셀 박사는 “이번 분석 결과는 실제로 우주에서 물질을 가져오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1938년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CI 콘드라이트’ 이부나운석. http://www.meteorites.tv
이번 연구는 류구에 대한 첫번째 본격적인 분석 결과다. 앞으로 몇 달 동안 더 많은 분석 결과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최근 일본 언론들은 소식통의 말을 빌려 과학자들이 류구 시료에서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아미노산 20여종을 발견했다고 보도해 눈길을 끌고 있다. 콜라겐 구성 성분인 글리신과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은 물론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 이소류신과 발린도 발견됐다.
이는 지구 생명체의 근간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운석 기원설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이 가설에 따르면 탄생 직후의 지구에는 원래 아미노산이 풍부했지만 이후 지구가 마그마로 뒤덮이면서 표면에서 사라졌으며, 현재의 아미노산은 지구가 식은 후 우주에서 날아온 운석이 가져왔다는 것이다. 우주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아미노산을 직접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0년 12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호주 사막에 떨어진 류구 표본 용기를 수거한 뒤 운반하고 있다. 작사 제공
류구 표본에서 흥미로운 분석 결과들이 나옴에 따라 과학자들은 현재 미국 항공우주국(나사)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가져오고 있는 소행성 베누 시료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갖고 있다. 베누의 시료는 2023년 9월24일 유타주 사막에 도착할 예정이다.
나사가 베누를 시료 수집 대상으로 삼은 주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베누의 구성 물질도 CI 콘드라이트 운석과 비슷한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오시리스-렉스가 1차 측정한 결과 베누에는 류구보다 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사는 현재 류구 시료의 10%를 확보해 놓고 있다. 따라서 류구와 베누의 시료에 대한 비교 분석도 가능하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