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를 통한 트라우마 치료 실험 개념도.
양측성 자극을 사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의 원리기존의 공포기억 반응-감소 모델에서는 안전한 환경에서 공포기억을 유도하는 조건 자극(CS, 소리)을 반복적으로 제시, 공포기억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억을 형성한다(왼쪽 위). 하지만 시간이 지나거나 변화된 환경에 놓이면 공포반응이 쉽게 재발한다(오른쪽 위).
반면 양측성 시각자극(ABS)을 이용한 공포기억 반응-감소 모델에서는 양측성 자극이 안구운동 및 주의집중을 담당하는 뇌 영역(상구)을 자극해 공포반응을 담당하는 편도체를 억제하는 새로운 신경회로가 활성화 된다(왼쪽 아래). 이 회로는 변화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편도체를 억제해 공포반응의 재발을 줄이고 더 효과적인 정신적 외상 치료를 유도한다.(오른쪽 아래)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뇌 회로를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발견해 트라우마 치료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인지·사회성연구단 신희섭 단장 연구진은 트라우마 치료와 관련된 뇌의 회로를 발견하고, 관련 심리치료법의 효과를 세계 최초로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한 논문을 14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그동안 트라우마는 효과적 치료법이 없어 주로 항우울제 등의 약물을 써 왔다. 일부 정신과에서는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심리치료법을 병행하며 효과를 보고했지만 과학적 원리를 밝힐 수 없어 널리 활용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고통스런 기억으로 공포 반응을 보이는 생쥐에게 좌우로 빛을 쪼여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자극을 주었을 때 생쥐의 공포반응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생쥐들은 시간이나 장소가 바뀐 뒤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공포 반응이 재발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뇌 영역중 공포 기억과 반응에 관여하는 새로운 뇌 신경회로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공포 기억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안구 좌우운동을 통한 자극이 관련 뇌 영역을 자극해 결과적으로 공포 반응을 관장하는 편도체 활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신희섭 단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한 번의 사건으로 발생하지만 약물·심리 치료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며 “앞으로 공포기억 억제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쉽게 치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