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열린 대선 출마선언식에서 청년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강한 대한민국, 경제 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대선 도전을 선언했다. 여권의 이른바 ‘빅3’로 대선주자 가운데 처음으로 출마를 공식화한 것이다.
정 전 총리는 1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서 출마선언식을 열어 “불평등의 원인은 시작도 끝도 경제”라며 “국민이 풍요한 소득 4만불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정 전 총리는 이를 위한 사회적 대타협 구상으로 먼저 “재벌 대기업 대주주들에 대한 배당과 임원 및 근로자들의 급여를 3년 간 동결”한 뒤 “그 여력으로 불안한 여건에서 허덕이는 하청 중소기업들의 납품 단가인상과 근로자 급여 인상을 추진”하고 “비정규직을 공정하게 대우하는 비정규직 우대 임금제를 도입·확대하겠다”고 했다.
청년 정책으로는 앞서 제안한 바 있는 ‘미래씨앗통장’의 도입 필요성을 설명하며 ‘혁신 청년국가’의 기틀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미래씨앗통장은 모든 신생아에게 성인이 될 때까지 20년 적립형으로 1억원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정 전 총리는 “미래씨앗통장과 같은 기초자산 형성 프로그램을 통해 흙수저, 금수저, 부모찬스 타령이 아닌 국가가 제대로 돌봐주는 국가찬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 없는 청년과 서민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 계획도 내놨다. 정 전 총리는 “임기중 공공임대주택 100만호, 공공분양아파트 30만호를 공급하겠다”며 “그 중 15만호는 반값 아파트, 나머지 15만호는 반의 반값으로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행사에선 청년층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엿보였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인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와 이광재·김두관 의원과 현역 의원 40여명이 참석했지만, 내빈 소개를 생략한 채 청년들과의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2030 토크쇼’ 방식으로 행사를 시작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청년들은 “청년들이 희망이 없다고 하는 이유를 아는지” “저와 친구들도 (정세균을) 잘 모르는데 어떻게 시민들에게 다가갈 건지” “지지율 정체는 어떻게 할 건지” 등의 ‘뼈 때리는’ 질문을 쏟아냈다. 대선주자 중 최고령이라는 지적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선됐을 때 저보다 연세가 더 많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은 훨씬 (연세가) 많다"고 답했다. 올해 71살인 정 전 총리는 이날 동영상 기반 소설미디어 틱톡에 벙거지 모자에 가죽재킷을 입은 래퍼로 변신한 독도 홍보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6선 국회의원, 국회의장과 총리까지 거친 화려한 경력에 이어 대통령 자리에까지 도전한 정 전 총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저조한 지지율 극복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선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마를 선언한 재선 박용진 의원에게 추월당하는 등 여권 대선주자 ‘빅3’ 지위를 위협받고 있다. 이날 지지율 정체 해법을 묻는 질문에 정 전 총리는 “2002년 노무현 당시 후보는 지금의 저보다도 지지율이 더 낮았지만 대통령에 당선됐다. (현재의 지지율에) 너무 연연할 것은 아니다”라며 “지금부터 열심히 잘 뛰어 신뢰를 얻으면 반전할 수 있다”고 답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관련기사 :
병아리색 민방위복이 잘 어울리는 대선주자 정세균의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