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지난달 4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들머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사실상 정치활동에 돌입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행보를 두고 제1야당 국민의힘에서 엇갈린 시선이 연일 표출되고 있다. 윤 전 총장의 입당 가능성을 놓고 “일단 지켜보겠다”며 유보하는 태도가 다수지만, “우리 아니면 누구에게 가겠느냐”며 입당을 확신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문화방송>(MBC) 라디오에 출연해 “(윤 전 총장이) 대권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라며 “(정치에는) 독불장군이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정당의 플랫폼에 들어와야 한다. 본인이 정무 감각이 있다고 생각하면 제3지대에 머무르지 않을 것”이라며 낙관했다.
반면 또 다른 원내대표 후보인 김태흠 의원은 “윤 전 총장은 아직 정치 선언도 하지 않았다. 지금 (윤 전 총장의 입당을) 언급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윤 전 총장의 의사도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당이 ‘구애’를 하는 모양새는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윤석열 대세론’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정치인 윤석열의 실체가 보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공존한다. 한 초선 의원은 <한겨레>에 “윤 전 총장이 골목 구석구석까지 뛰려면 우리 당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라고 윤 전 총장의 입당 가능성을 높이 샀다. 반면 “윤 전 총장 지지율 추세도 신중히 지켜봐야 한다”(재선 의원), “의원 한번 해보지 않은 윤 전 총장이 대선에서 이길 것이란 예측은 아직 위험성이 크다”(비영남권 초선 의원)는 지적도 있었다.
중진 그룹에서는 ‘윤석열 리스크’를 우려하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 비영남권 한 중진 의원은 “윤 전 총장이 정당으로 들어오려고 한다면 스스로 부인이나 장모 등 네거티브 사안을 해결하고 와야 한다”고 했다.
강성 보수 진영에서는 여전히 그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다.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을 구속한 사람이 윤 전 총장이라는 것이다.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소장은 “탄핵·구속 원인을 윤 전 총장에게 돌리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면 입당이나 통합을 이뤄가는 과정은 훨씬 힘들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김미나 배지현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