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라디오 인터뷰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겨레>자료사진
◇ 김현정> 사실, 어떤 일이냐고 물을 수는 제가 없습니다. 없습니다마는 지금 은연 중에 말씀을 하시기로는 제일 어린 시절. 취업조차 되기 전에 그 연수원 시절에 뭔가 부적절한 힘을 이용해서 부적절한 일을 하는. 그런 것들이 벌어진 거군요.
◆ 이재정> 취업 과정에서 취업을 하려고 했던 로펌의 대표였는데 그 이후에도 그분은 계속 전화를 해 왔습니다. 제가 그 불편한 상황을 피하고, 화가 나 있다는 걸 아는 상태에서도 계속 전화를 해 와서 저는 그때 참으로 놀랐던 건요. 본인이 잘못을 했구나. 시쳇말로 ‘앗, 뜨거워’ 하고 숨어도 부족할 사람이 자신감을 가지고 계속 피해자인 저에게 전화를 해대는 등의 2차적, 3차적 위협을 해 오는 상황 아닙니까?
◇ 김현정> 전화를 왜 해요? 사과하려고? 아니면 왜 전화를 계속 합니까?
◆ 이재정> 친근감의 표시를 계속 지속합니다. 제가 했던 그분에 대한 거부 의사를 거부 의사라고 받아들이지 않는. 보통 남성 가해자들이 느끼는 그런 감정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뭐라고 확신하냐면요. 그 분은 제가 처음도 아니고 제가 마지막도 아니었을 거다. 그리고 피해 여성들은 명백하게 명시적으로 거부 의사를 표시하고 그 상황을 회피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상황에 대해서 공론화하거나 문제제기 하지 않을 것이다, 못할 것이다라는 확신이 있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김현정> 얘가 하겠어? 자기 신분이 저런데 나한테 감히. 못할 거라는 확신이 드니까 자꾸 전화하면서 오히려 친근감을 표시하면서 이렇게 가는 거예요. 관리하면서 가는 거예요, 상황을.
◆ 이재정> 그 자신감이 사실 저를 더 위축되게 했다는 생각입니다. 사회 모든 현상에서 저 같은 일을 겪는 여성들은 많구나. 하지만 저분이 저렇게 자신감 있게 그 이후에도 2차 가해, 3차 가해나 다름없는 일을 버젓이 하는 것은 모든 여성들은 그냥 또 인내하고 공론화시키는 것은 포기했구나. 그럴 수밖에 없겠다라는 것을 시간이 지나면서도 저도 더 느끼게 되는 과정이었죠. 다른 이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누구 못지않게 용감하게 나섰다라고 생각하는 이재정 변호사였지만 제 문제에서만큼은 저의 피해자성을 드러내고 이 문제를 부딪혀 싸우기에는 제가 겪어야 될, 개인이 겪어야 될 여러 가지 불이익들이 너무 생생하게 상상이 돼서 사실 감행하지 못했습니다. 그 점이 그 점이 오히려 저한테는 더 큰 아쉬움과 상처로 남기도 했었거든요. 왜 내가 더 강하게 그 자리에서 아니라고 얘기 못 했을까. 왜 그 자리를 회피할 수는 없었을까 등등 여러 가지 저에 대한 책망이나 아쉬움들이 오랫동안 좀 지배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그것은 지금 이 문제를 약소하게나마 소박하게나마 공개하고 난 이틀 간에도 끊임없이 하고 있는 갈등이기도 합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이슈한국판 #미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