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석춘 자유한국당 혁신위원장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1차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23일 박근혜 전 대통령 출당 문제를 비롯해 친박계 의원들의 정치적 책임을 따지는 ‘인적 혁신’ 작업에 착수했다. 혁신위는 애초 논란을 피하겠다며 연말로 미룰 듯한 태도였으나, ‘친박계 청산’을 고리로 바른정당을 흔들고 있는 홍준표 대표가 최근 이 문제를 공식화하면서 논의를 앞당긴 것이다.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2차 혁신안을 발표한 뒤 “워낙 민감하고 당에서 큰 다툼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이지만 (홍준표) 대표가 먼저 시동을 걸었으니 오늘부터 인적 혁신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류 위원장은 인적 혁신의 기준과 대상에 대해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실패한 것인지, 실패했다면 그 책임을 어떻게 따질 것인지 △친박계는 대통령의 정치적 실패를 왜 방치했는지 △대통령 탄핵의 ‘빗장’을 연 인사들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 크게 3가지로 제시했다. 박 전 대통령 출당과 친박계 책임론을 놓고 친박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또 탄핵에 찬성했던 복당파 의원들까지 평가 대상으로 올려놔,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홍 대표는 “국정파탄에 책임 있는 사람을 정리하면 바른정당 인사들이 돌아올 명분이 생길 것”이라며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바른정당 일부 의원들을 ‘흡수’하려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친박계로 활동했던 김태흠 최고위원은 “당규에 따라 형 확정 이후에 출당 등의 징계를 할 수 있다”며 대법원 판결 이후로 박 전 대통령 출당 논의를 미뤄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서고 있다.
정기국회를 앞두고 ‘제1야당 전열 정비’를 위해 24일부터 이틀간 충남 천안에서 열리는 의원연찬회에서도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류석춘 혁신위원장도 연찬회에 참석해 당 혁신안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