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들은 대선후보를 언제 결정했을까.
방송사 3사의 출구조사 결과를 보면, 10명 중 3명이 투표일 막판에서야 ‘표심’을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구조사에 응한 3000여명 가운데, 29.1%가 투표일로부터 사흘 이내 후보를 결정했다고 답변했다. 15.8%는 투표 전날까지도 후보를 정하지 못하고 당일 ‘결심’한 것으로 답변해, 야권 후보뿐 아니라 보수 후보도 갈린 ‘혼전’의 대선 양상을 그대로 반영했다.
반면 4명 중 1명(25.7%)만 정당별 후보가 확정되었을 때 이미 지지 향방을 정했다고 답변했다. 정당보다 후보자를 평가하려는 이들이 압도적이었단 얘기이기도 하다.
방송사 출구조사에 응한 이들은 ‘후보 선택 기준’으로 지지 후보가 “부패와 비리를 청산할 수 있어서”(20.7%), “경제 성장과 발전에 적임자라서”(19.6%), “도덕적이고 깨끗한 인물이라서”(19.3%), “국민통합을 잘 이룰 수 있어서”(18.1%) 순으로 꼽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헌법유린에서 촉발된 조기 대선인 만큼, 적폐청산과 도덕성이 돋을새김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응답자들의 38.1%가 ‘최순실의 국정농단’이, 37.5%가 ‘박 전 대통령의 불법적 국정운영’이 “후보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10명 중 8명 가까이(75.6%) ‘반박 표심’으로 투표소를 찾았던 셈이다. 이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출구조사에서 전국에 걸쳐 23.3%를 받은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만하다.
후보 선택 기준에서 ‘통합’이 되레 가장 후순위어서 눈길을 끈다. 응답자들의 74.3%는 박 전 대통령의 탄핵 결정에 찬성했고, 17.7%는 반대했다고 답했다.
해당 조사결과는 9일 오전 6시부터 저녁 7시까지 3352명을 대상으로 삼은 것이고, 신뢰수준은 95%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