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침묵 끝내고 완주 의지
이재명·박원순, 당사서 단배식
이재명·박원순, 당사서 단배식
이르면 벚꽃 필 무렵 치러질 수도 있을 대선을 앞두고, 새해 첫날 대선 주자들은 잰 걸음을 놀렸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최대 취약지인 호남에서 묵은 해를 보내고 새 해를 맞았다. 전날 전주를 방문한 문 전 대표는 1일 새벽엔 광주 무등산에 올랐다. 그는 이날 무등산 문빈정사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해에는 정권교체를 통해 정말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대한민국, 나라다운 나라,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그런 나라가 만들어지길 간절히 소망한다”며 “정권교체를 해내려면 광주·전남, 호남의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동철 비대위원장, 주승용 원내대표 등 국민의당의 호남 일부 중진들을 중심으로 “친박, 친문을 제외하면 다른 세력과 연대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을 겨냥해 “국민의당이 새누리당 쪽의 비박과 손을 잡거나 연대를 한다면 그것은 정권교체를 바라는 호남의 염원에 배반되는 선택일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지난번 총선 때 잠시 길이 어긋났지만, 정권교체라는 그 대의를 위해서는 함께 해야 될 관계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호남에서 자신의 지지율이 회복되고 있는 데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반문연대’보다 ‘정권교체’라는 명분을 각인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는 오는 5일부터 매주 한 차례씩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을 통해 촛불민심에서 드러난 ‘국가 대개조’를 위한 정책 방안들을 발표하며 ‘준비된 후보’의 면모를 보여주며 대선 승리까지 몰고 가겠다는 계획이다.
귀국을 앞둔 반 전 총장은 자신의 활동 공간을 넓히기 위해 ‘개헌 대 호헌’ 구도짜기를 시도했다. 그는 퇴임 직전인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국 유엔본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현재 헌법은) 1987년에 개정된 것으로, 우리가 몸은 많이 컸는데 옷은 안 맞는 상황이다. 필요한 부분은 개헌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의 귀국 뒤 거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여야 정치권에 ‘개헌’을 고리로 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그는 개헌 방향과 관련해선 “제가 혼자 결정할 일이 아니다. 국민의 컨센서스를 받는 범위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은 설 무렵 국내에 들어온 뒤에도 곧바로 특정 세력과 손잡기보다는 당분간 각계각층의 의견을 청취하며 행보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보수진영이 새누리당과 개혁보수신당으로 갈라진 상황에서 한쪽 세력을 선택하는 게 부담스러운 만큼 보수세력 통합을 위한 정지작업이 이뤄질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재명 성남시장과 박원순 서울시장은 1일 서울 여의도 새 당사에서 열린 단배식에 참여하고 당 지도부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씨를 방문하는 등 ‘당과 함께 하는’ 새해 첫날을 맞았다. 이 시장은 단배식에서 “70년 적폐를 청산하고 공정한 나라를 만드는 데 저도 작은 힘을 보태겠다”며 “분열이 아닌 단결로 국민 열망이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도 “국민과 더불어 정권을 교체하고 미래를 교체하고 역사를 교체하자”고 호소했다. 특히 각종 대선 주자 지지도 조사에서 ‘3위권’에 안착한 이 시장은 전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개혁보수신당의 유승민 의원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 반대 등을 이유로 문 전 대표를 비판한 데 대해 “종북몰이가 또 시작되는 것 같다”며 문 전 대표 편들기에 나섰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대표도 ‘짧은 침묵’을 깨고 대선 완주를 위한 전의를 다졌다. 그는 31일 밤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넘어지지 않는 사람이 있겠느냐. 한 번만 넘어지는 사람이 있겠느냐. 셀 수 없이 넘어지는 게 우리의 삶”이라며 “넘어졌다고 주저앉지 않고 일어서고 또 일어서서 앞으로 나아가면 끝내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29일 국민의당 원내대표 경선에선 자신이 지지한 김성식 의원이 큰 표차로 패하자 잠시 공식 일정을 접는 등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그는 1일 국민의당 단배식에도 불참했다. 안 전 대표 쪽에선 오는 15일 전당대회 직후 곧장 대선 캠프를 꾸려, 가치와 정책을 중심으로 합리적 중도개혁세력을 모으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정애 이경미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