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탄핵 늦추기라면 좌시못해”
박지원 “좌고우면 않고 탄핵 매진”
“질서있는 퇴진, 공 넘겨받은 셈”
안희정 “야3당, 사퇴시점 요구 통일해야”
박지원 “좌고우면 않고 탄핵 매진”
“질서있는 퇴진, 공 넘겨받은 셈”
안희정 “야3당, 사퇴시점 요구 통일해야”
28일 서청원 의원 등 새누리당 친박계 중진들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조기퇴진’을 건의한 데 대해 야권은 일단 “박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친박계의 건의 배경에 대해선 ‘탄핵의 동력을 떨어뜨리기 위한 시간벌기용 아니냐’는 의구심을 거두지 않았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일단 대통령이 퇴진해야 한다고 한 것엔 의미가 있지만, 구체성이 없어 모호하다”고 말을 아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 정도로는 대통령이 움직이지 않는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탄핵에 매진하겠다”고 잘라 말했다. 야당은 박 대통령이 이날도 검찰 조사를 거부하면서 정면돌파 의지를 명확히 한 점을 근거로, 박 대통령의 자진 사퇴에 별로 무게를 두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야권 일각에선 친박계가 시간을 벌면서 궤도에 오른 탄핵 움직임에 제동을 걸려는 의도가 있다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만약 박 대통령이 친박계의 요청에 대해 가타부타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질질 시간을 끌 경우 야당으로선 ‘탄핵 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이날 <제이티비시>(JTBC) 인터뷰에서 “친박까지 퇴진하라는 얘기가 나왔으니 박 대통령이 자진해서 물러나는 게 답”이라면서도 “왜 이 시기에 (친박들이) 이런 발언을 내놓는지 정치적 속내가 궁금하고 의심스럽다. 탄핵을 늦추려는 의도라면 좌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추후 개헌 논의를 고리로 야권의 균열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민석 민주당 특보단장은 “즉각 퇴진이 아니라 박 대통령에게 ‘명예’라는 명분과 여유를 주면 최악의 상황을 막는 동시에 개헌 국면으로 갈 수 있다고 보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그동안 ‘질서있는 퇴진이 최선이지만 박 대통령이 물러날 생각이 전혀 없으니 탄핵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를 세워온 야당으로선 곤혹스러운 상황에 놓이게 된 게 사실이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지금도 야당 안에선 질서있는 퇴진이 낫다는 기류가 있고, 전날 정치·사회 원로들도 같은 의견 아니었느냐. 그러니 친박들이 공을 야당으로 넘기는 것”이라며 “야당 입장에서도 대통령이 사실상 퇴진하고 새로운 총리에게 전권 준다고 하면 무작정 받지 않겠다고 거부만 할 수 없는 곤란한 입장이 된다”고 말했다. 친박계 중진들이 박 대통령의 퇴진 시점과 방법을 명확히 못박지 않았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이들의 건의를 수용하는 제스처를 취하면서도 대선 일정, 총리 추천 문제 등 이런저런 조건을 걸면서 퇴진 시점을 늦출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혹시라도 박근혜 대통령이 자진 사퇴하겠다면 정상적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 위해 ‘대통령의 사퇴 시점’과 선거관리와 차기 정부 취임까지를 관리할 ‘과도내각 운영건’에 대해 야3당의 통일된 입장을 정해서 대통령을 이끌어야 한다”고 짚었다.
이세영 이정애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