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의동 의원 국민안전처 자료 분석
해양사고·감염병·대형화재·붕괴 사망자 많아
“정부, 피해 최소화할 사회재난 대응 역량 키워야”
해양사고·감염병·대형화재·붕괴 사망자 많아
“정부, 피해 최소화할 사회재난 대응 역량 키워야”
최근 10년간 자연재해가 아닌 ‘사회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206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재난이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규정된 개념으로 ‘화재·붕괴·폭발·교통(항공·해상 포함) 사고, 화생방·환경오염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한 대통령령으로 정한 규모 이상의 피해,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를 이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유의동 의원이 4일 국민안전처에서 받아 공개한 ‘2006~2015년 사회재난 발생현황’ 자료를 보면, 가장 많이 발생한 사회재난 유형은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로 20건에 달했다. 이어 해양선박 사고(8건), 가축질병(6건), 산불(4건), 다중밀집 건축물 붕괴 대형사고(3건), 대규모 해양오염(3건),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2건), 고속·일반철도 대형사고(2건), 감염병(2건), 육상화물운송(2건), 우주전파재난(2건), 지하철 대형사고(1건), 보건의료(1건) 등이었다.
사회재난별 인명피해의 경우 사망자가 824명, 부상 1193명, 실종 48명이었다.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피해가 반영되며 해양선박사고가 가장 컸다. 사망 361명, 부상 180명, 실종 48명에 달했다. 발생 건수는 2차례에 불과했지만 감염병으로 308명이 숨졌다.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로는 128명이 죽고 297명이 다쳤고, 다중밀집 건축물 붕괴 대형사고의 경우 13명 사망, 114명이 부상했다. 산불(사망 8명, 부상 112명),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사망 5명), 철도사고(사망 1명, 부상 13명)에서도 인명피해가 나왔다. 지하철 대형사고의 부상자만 477명이 나왔다.
유의동 의원은 “최근 지진 등 자연재해로 국민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데, 철저한 준비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회재난에서 연간 200여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의 신속하고 철저한 대응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자료는 사회재난 중 시·군·구에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운영된 사고만을 포함시킨 결과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