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서 주장
“전경련 자발적 사회공헌 모금…
야당이 밝혀낼 것 없자 국감 파행” 주장
“전경련 자발적 사회공헌 모금…
야당이 밝혀낼 것 없자 국감 파행” 주장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28일 미르재단·케이스포츠재단 의혹에 대해 “세월호 때도 900억원을 금방 모금했다. 김대중·노무현 정권 때도 전경련이 사회공헌 사업할 때 정권에서 연락해서 한 것이냐”며,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자발적 모금 활동이라고 주장했다. 대통령 비선 실세가 개입한 강제 할당 모금 의혹을 전국민적 애도 분위기 속에 이뤄진 자발적인 세월호 참사 모금과 비교한 것이다. 그러면서 집권여당의 국정감사 거부 비판 여론에 대해서는 “야당이 국감에서 밝혀낼 의혹이 없자 국감을 안 하려고 일부러 여당을 자극해 파행을 이끌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 참석해 대통령 비선실세 의혹 등에 대해 특유의 속사포 열변을 토하며 방어했다. 이 대표는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의혹과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미르(재단)…. 전혀 모른다. 그래서 한번 (청와대에) 물어봤다”며 입을 열었다. 그는 “전경련이 1년에 사회공헌으로 거둬 쓰는 돈이 3조원이고, 문화체육예술에 1조1천억원을 쓴다. 돈 많이 내는 기업들이 세금도 많이 내지만 불우이웃돕기할 때 연말에 2백억, 천안함 때는 3일만에 몇 백억, 세월호 때도 9백억원을 걷었다”며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도 대북에 물자지원한다 할 때 신속하게 전경련이 돈을 거둬 사회공헌활동 했다. 이번에는 체육(케이스포츠재단), 문화(미르재단) 분야에 돈이 부족한데 국가예산으로 부족하니 전경련이 나서서 돈을 거뒀다고, 그렇게 들었다”고 했다.
이 대표는 박근혜 정부 국정지표 중 하나인 ‘문화융성’에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협조한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는 “전경련에서 이걸 하면서 (당시)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하고 전경련 관계자하고 ‘이렇게 하려고 한다’며 말이 오갔다고 한다. 그리고 앞에서 말한 것처럼 사회모금하듯이 했다고 들었다”고 했다.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설립 허가가 하루 만에 속전속결로 나온 것에 대해서는 “인허가를 보면 어떤 거는 오래 걸리지만, 어떤 거는 사전에 몇날며칠 (협의를 하면) 한나절에도 된다. 그런 사례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의혹들이 대정부질문과 국감에서 야당 단독으로 계속 제기하고 있는데, 의혹이 있으면 전경련이 당사자니 고소·고발을 하면 된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고소·고발을 못하느냐”고 했다.
이 대표는 전경련 쪽의 주장도 적극 전달했다. 전날 국정감사에서 “안종범 청와대 수석이 전경련에 얘기해서, 전경련에 일괄적으로 기업들에 할당해서 (모금)한 거다”라는 대기업 관계자의 녹취록을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것과 관련해, 이 대표는 “전경련에 확인했더니 (전경련은) ‘누구하고 통화했는지 밝히라’고 한다. 전경련에서는 오히려 더 의혹을 품고 있다”고 했다. 이 대표는 “많은 기업들이 참여할 때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설득해서 참여하기도 하고, 분위기에 따라 참여하기도 한다. 기업들이 다 잔존심이 있다. 제가 (전경련에서) 듣기로는 강제성있게 청와대가 나서서 할 것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표는 ‘민감한 정치 현안을 피하기 위해 여당이 국감을 일부러 피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격하게 반응하며 “야당이 오히려 국감을 하기 싫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 정권 들어 얼마나 의혹이 많았느냐”며, 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 의혹과 ‘청와대 십상시’ 의혹을 거론했다. “대통령이 7시간 나가서 바람을 피웠다고 했다. 입증이 됐나? 제대로 밝혀진 것이 있나? 십상시가 강남 무슨 식당에서 대책회의를 했다고 6개월 동안 떠들었다. 하나라도 나온 것이 있느냐. 지금 박근혜 정권 들어서 야당이 말해서 밝혀진 것은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사람들이, 야당이 이번 국감을 열어봤자 밝혀낼 것이 하나도 없고, 국민들은 기대하는데 밝혀낼 것이 없다고 보니까 ‘(여당을) 계속 자극하면 틀림없이 (국감이) 파행할 것이다. 그럼 국감을 어영부영 넘어가고 떼울 수 있다. 뭐가 안 나오면 여당이 안 나와서 그런 것이라며 파행을 이끌어내려는 것이다. 야당이 국감을 오히려 파행으로 이끌었다”고 주장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