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선출결과 놓고 분석 엇갈려
비대위 구성·전대 전망 셈법 복잡
“당선자 표대결과 전대는 달라
면죄부로 생각한다면 착각” 해석도
비대위 구성·전대 전망 셈법 복잡
“당선자 표대결과 전대는 달라
면죄부로 생각한다면 착각” 해석도
3일 정진석 원내대표 선출 결과를 놓고 새누리당 안에서는 엇갈린 전망들이 나왔다. 총선 참패의 수렁에서 당을 정비하고 쇄신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및 전당대회(당 대표 선출)에 ‘정진석 원내대표 체제’의 탄생이 어떤 상관관계를 맺을지에 대한 셈법이 각기 복잡한 것이다.
우선, “친박계가 원내대표에 이어 당권까지 장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얘기가 나왔다. 정 원내대표가 친박 성향인데다 이번 경선에서도 친박계의 지원을 등에 업고 당선된 점에 비춰, ‘친박계 재가동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다. 한 당직자는 “정 원내대표와 친박계 모두 ‘정진석은 친박이 아니다’라고 하지만 ‘친박’으로 보는 게 맞고, 친박계의 지원설도 파다했다”며 “친박계가 비대위 구성과 전당대회에서도 집단적으로 움직여서 원내와 당을 모두 장악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계가 이번에 겉으로 ‘자숙론’을 내세우며서도 물밑으로는 ‘조직력’을 과시한 만큼, 당권 장악 또한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 당직자는 “수레바퀴를 강조한 청와대도 원내대표에 이어 당 대표까지 가져가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당·청 관계에 대해 “두 바퀴가 같이 굴러가야지, 내부에서 삐거덕거리고 이 바퀴는 이리 가는데 이 바퀴는 저리 가려고 하면 아무것도 안 된다”고 한 발언에 주목한 해석이다.
실제로 친박 핵심인 최경환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 “누가 등 떠밀어도 나가고 싶지 않은 심정”이라고 밝힐 뿐, 명확하게 “출마 안 한다”고 밝히지는 않고 있다.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전당대회 도전을 선언한 상태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친박계가 ‘친박 색깔’이 상대적으로 옅은 이주영 의원을 당 대표 후보로 내세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반면, 친박계의 당권 장악이 의도대로 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3선 의원은 “20대 국회 공천권을 쥐었던 친박계가 의원들(당선자) 표 대결에서 이기는 것은 당연하다”며 “그러나 일반국민까지 투표에 참여하는 전당대회는 다르다. 의원 몇 사람이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계가 원내대표 선거 결과를 두고 ‘면죄부를 받았다’고 생각한다면 착각”이라고 했다. 비박계의 다른 의원은 “정진석 원내대표가 선출된 것은 친박계의 지원 말고도 정 원내대표가 계파색이 강하지는 않다는 개인 특성도 작용했다”며 “전당대회에 친박계가 출마하더라도 표 결집은 또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