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최고위
“사퇴 권고 의총”
비박 반발하자
“거취 논의 의총”
“사퇴 권고 의총”
비박 반발하자
“거취 논의 의총”
‘유승민 정국’을 촉발한 국회법 개정안이 사실상 폐기된 다음날인 7일, 새누리당은 하루 종일 긴박하게 움직였다. 당 지도부가 직접 ‘유승민 정리’ 수순에 들어간 것에 맞춰 친박근혜(친박)계는 ‘유승민 즉각 사퇴’ 촉구로 여론을 몰았고, 비박근혜(비박)계는 정면 반박은 하지 않았지만 ‘성급한 결론 아니냐’며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전 10시,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선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다루는 긴급최고위원회가 열렸다. 지난달 29일, 같은 내용으로 긴급최고위원회가 열린 지 8일 만이다. 분위기는 확연히 달랐다. 2시간20분간의 회의에도 결론을 내지 못했던 그때와 달리, 이날은 20분 만에 “지금이 물러나야 할 시점”이라고 정리했다. 앞서 전날 밤 국회 본회의 뒤 유 원내대표를 제외한 7명의 최고위원들은 따로 모여 ‘유승민 즉각 사퇴’로 이미 의견을 모았다.
이날 비공개회의 초반에는 “의총을 열어 신임·불신임 투표를 하자”는 주장도 나왔으나, 비박계인 원유철 정책위의장이 ‘유 원내대표의 정치적 결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자’고 제안하자, 다른 최고위원들이 이를 받아들였다. 표 대결로 인한 계파 간 정면충돌 가능성을 우려한 것이다. 다만 ‘정치적 결단’이라는 모호한 표현은 ‘사퇴’로 명확하게 바뀌었다. 담담히 듣던 유 원내대표는 “의총 결정을 따르겠다”고 말한 뒤 먼저 회의장을 떠났다.
최고위원회가 열리는 시각, 이인제 최고위원과 정우택 의원 등 친박 의원들이 중심이 된 충청지역 의원 10여명은 긴급연석회의를 열어 ‘유승민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비박계도 움직였다. 강석호·김성태·김세연·황영철 의원 등 재선 의원 10여명은 이날 오후 긴급회동을 한 뒤 “(내일 의총이) 특정한 방향으로 결론을 유도하기 위한 의총으로 진행된다면 불참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모았다. 의총 협조를 구하러 회의장을 찾은 김무성 대표에게 “‘사퇴 권고 결의안’이라는 명칭을 바꾸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날 본회의 직후 자정 넘어까지 ‘심야 대책 회의’를 했던 유 원내대표 쪽은 이날 별도의 모임을 열지 않았다.
서보미 최혜정 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