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오른쪽)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2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심야회동을 마치고 호텔을 떠나고 있다. 2015.7.2 (서울=연합뉴스)
논란됐던 당직 인선은 끝내 결론 못 내려
1차 회동 뒤 밤 10시에 2차 회동 이어가
“당 통합이 가장 중요한 과제 인식 나눠”
1차 회동 뒤 밤 10시에 2차 회동 이어가
“당 통합이 가장 중요한 과제 인식 나눠”
당직 인선 문제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갈등을 빚어온 이종걸 원내대표가 3일부터 당무에 복귀하기로 2일 결정했다. 하지만 정책위의장과 조직사무부총장 등 후속 당직 인선에 대해서는 이날도 결론을 내리지 못 하는 등 당직 인선으로 불거진 당내 계파 갈등의 불씨가 여전히 남았다.
문 대표와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4시30분 국회 새정치연합 당대표실에서 2시간30분 동안 마주 앉아 해법을 논의했지만 당 운영을 둘러싼 이견만 확인하고 헤어진 뒤 밤 10시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1시간10분여의 2차 독대를 통해 최종 담판을 시도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두 사람의 2차 회동이 끝난 뒤 브리핑에서 “오늘 문 대표와 이 원내대표는 당무 전반에 관해 격의 없는 의견을 교환하고 당의 통합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일부 당직 인선에 관해 소통이 부족했다는 점에 두분 대표가 공감했다”고 전했다. 두 사람은 이날 2차 회동에서도 아직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은 정책위의장과 조직사무부총장 등 후속 당직 인선에 대해선 결론을 내리지 못 했다. 김 대변인은 “문 대표가 당직 인선 등 당무 운영 전반에 관해 원내대표와 최고위원과 원만히 소통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 원내대표는 최재성 사무총장 임명를 비롯한 문 대표의 당직 인선이 편파적이라고 주장하며 일주일 넘게 최고위원회 출석을 거부해왔다. 이에 따라 이날 회동에서는 아직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은 정책위의장과 조직사무부총장 등 후속 당직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많았지만, 두 차례에 걸친 회동에도 끝내 접점을 찾지 못 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두 차례의 회동을 통해 직접적인 당직 인선에 대해 언급은 하지 않은 채, 최 사무총장 인선 과정에 대한 문 대표의 사과와 해명을 비롯해 문 대표의 전반적인 당 운영 방식의 변화를 촉구했다. 이 원내대표와 가까운 수도권의 한 의원은 “이번 당직 인선 과정에서 보인 문 대표 쪽의 모습을 보면 지난번 문 대표의 ‘부치지 않은 편지’(5월14일에 작성한 ‘당원에게 드리는 글’)에 나온 그대로 자기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기득권 지키기 집단’으로 몰아가는 것 같은 인상이다. 게다가 최근 문 대표 쪽에서 ‘박근혜 국회법’ 재발의 등 원내 사안에 대해 원내지도부와 사전 조율 없이 일을 벌이는 모습도 보였다”며 “이런 엇박자에 대해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계속 비슷한 일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두 사람 사이의 갈등의 소지가 여전한데 당직 배분으로 적당히 봉합하고 넘어가면 언젠가 다시 갈등이 터지게 돼 있는 만큼 이참에 확실히 매듭을 짓고 가야 한다는 얘기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당직을 요구할 경우, 그동안 최재성 사무총장을 반대해왔던 것이 ‘자리 욕심’ 때문이었냐는 비판도 일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원내대표와 가까운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오늘은 (당직 인선 문제 등에 대해 그동안 소통이 부족했다는 점에 대해) 총론적인 선에서 의견을 확인한 자리”였다며 “오늘 당직 인선을 마무리 지었으면 좋았겠으나, 인사는 어짜피 당 대표의 권한인 만큼 당직 인선 문제와 당무 복귀를 연기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대신 이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최재성 사무총장의 공천 개입을 막는다는 걸 말로만 약속할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보장할 만한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긴 시간을 할애해 얘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내대표 쪽 관계자는 “문 대표가 이 얘기를 경청하긴 했으나 어떻게 하겠다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진 않았다”고 전했다.
문 대표 쪽에선 이날 회동에 대해 “이 원내대표가 당무에 복귀하기로 한 만큼 문제가 원만히 잘 해결되지 아니겠느냐”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이 원내대표 쪽에선 여전히 총론적인 부분에서 공감대를 형성했을 뿐이라고 보는 등 여전히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분위기다. 이에 따라 향후 후속 당직 인선 결과에 따라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은 셈이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