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회 지방선거 시간대별 투표율
사전투표로 3~4%p가량 오른듯
6·4 지방선거 투표율이 56.8%를 기록했다. 1995년 실시된 첫 지방선거(68.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일 투표 마감 결과, 전체 유권자 4129만6228명 가운데 2346만4533명이 투표해 잠정 투표율이 56.8%에 이른다고 밝혔다.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 54.5%보다 2.3%포인트 높은 것이지만, 애초 예상됐던 60%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사전투표가 전체 투표율을 얼마나 높였는지에 대해선 조금씩 의견이 엇갈렸다. 하지만 3~4%포인트 정도의 투표율 제고 효과는 있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투표일을 이틀 늘리는 효과에 더해, 투표 참여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완화시켜 참여 조건이 취약한 집단의 투표율을 높였다는 것이다.
높은 투표율의 원인을 사전투표 도입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는 견해도 만만찮다. 한귀영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설사 투표율이 50%대 초중반에 그쳤어도 결코 낮다고 평가해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쟁점과 구도가 명확해 투표 참여 의지가 높았던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54.5%)을 투표율 평가의 기준선으로 삼아선 안 된다는 것이다. 역대 지방선거(2~5회)의 투표율 평균은 51.6%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사전투표와 함께 세월호 참사를 투표율 상승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세월호 참사의 발생과 수습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무책임이 야권 지지층과 부동층 유권자들에게 참여 동기를 만들어줬다”고 분석했다. 윤희웅 ‘정치컨설팅 민’ 센터장도 “세월호 참사 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적 투표 의향층이 늘었다”며 “정권 심판 정서가 만들어진 것이 투표율을 견인하는 효과를 발휘했다”고 진단했다. 또 윤 센터장은 “인구의 노령화가 (투표 참여도가 높은) 노년층을 증가시켜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발휘했다”고 설명했다.
‘격전지 효과’도 있었다. 부산·광주·대구 등 지역 연고 정당의 후보가 독주하던 곳에 경쟁력이 강한 무소속 후보가 출마해 캠페인 기간 내내 ‘시소게임’을 벌인 것이 선거에 대한 관심과 투표 참여에 따른 효능감을 높여 더 많은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실제 부산의 투표율(56.6%)은 지방선거 역대 평균 투표율(46.6%)보다 10%포인트 높았다. 57.1%를 기록한 광주 투표율은 역대 평균(45.9%)을 무려 11.2%포인트나 상회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