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가 여객선 세월호 참사 사고 발생 및 정부의 미흡한 대처에 책임을 지겠다며 사고 발생 11일 만인 27일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사고 수습 이후에 (정 총리의 사표를) 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사고 발생 예방부터 사고 이후의 초동 대응과 수습 과정에서 많은 문제들을 제때에 처리하지 못한 점에 대해 정부를 대표하여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국무총리로서 응당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 실종자가 아직 100명 넘게 남은 상황에서 정부 대책 총괄기구(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총리가 사표를 낸 것이다. 정 총리는 “우선은 사고 수습이 급선무이고, 하루빨리 사고 수습과 함께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책임있는 자세라고 생각했다”면서도 “그러나 이제 더 이상 제가 자리를 지킴으로써 국정운영에 부담을 줄 수 없다는 생각에 사퇴할 것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여야 정치권이 지난주부터 청와대에 ‘내각 총사퇴’ 등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기 시작한 정치적 상황을 고려한 것임을 스스로 밝힌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정 총리의 사의 표명 뒤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구조작업과 사고 수습으로, 이게 최우선이기 때문에 사고 수습 이후 수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의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내각의 수장인 총리가 홀로 사퇴를 선언한 것은 지극히 무책임한 자세이며 비겁한 회피”라며 “관련자 책임을 묻는 것에 앞서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의 반성과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외현 석진환 기자 oscar@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