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철도파업을 중재한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이 김명환 전국철도노조 위원장과 석달 만에 다시 만났다. 박기춘 민주당 의원과 함께 사상 최장기인 23일간의 철도파업 철회를 담판지은 당사자들이다. 회사의 일방적인 강제전출과 징계에 맞서 4월 파업을 예고한 철도노조가 마지막 ‘구조 신호’를 국회에 보낸 셈이다.
김무성 의원은 2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과 만나 “철도노조가 파업까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 노조 설명 가운데 합리적으로 보이는 부분을 회사 쪽에 적극 얘기하고 (이후) 회사 의견을 노조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박기춘 의원은 일신상의 이유로 불참했다.
이번 면담은 철도노조 조합원들이 노사 갈등 현안 등을 해결해달라며 25일 오후 4~7시께 김무성·박기춘 의원실에서 항의농성을 벌인 끝에 성사됐다. 같은날 철도노조는 회사가 1000여명으로 예상되는 인력의 강제전출을 일방으로 밀어부치면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
▷ 관련기사 : 코레일 재파업 전운 돈다)
철도노조는 ‘민영화 반대’ 파업 이후 걸목이 사라진 상태다. 지난해 12월29일 김무성·박기춘 의원이 밤중에 김명환 위원장과 만나 철도 현안을 포괄적으로 다룰 국회 소위를 만드는 조건으로 파업을 종료시켰으나, 이후 철도노조는 공론장에서 배제됐고 회사와 교섭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국민 관심도 6·4 지방선거로 옮아가고, 징계나 손해배상을 홀로 감수하는 상황에서 회사가 이달말까지 강제전출을 통한 ‘노조 무력화’까지 시도하고 나섰다. 정치권의 중재가 없다면 노사 갈등이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
철도노조의 김재길 정책실장은 “강제전출은 전출 교육 비용 등도 많이 들기 때문에 방만경영을 하지 말자는 국가 시책과 어긋난다. 인력 불균형이 원인이라면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고 노조도 함께 해결에 나설 수 있다. 하지만 사장이 참석한 교섭 자체가 파업 이후 한 차례도 없었다. 국회에서 이 정도의 중재라도 해주길 바라며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