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운데)와 이혜훈 최고위원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최경환 원내대표. 김경호 기자
최고위, 6월 말~7월 중순 개최 공감
친이계 의원들 “선거 책임회피” 반발
7·30재보선 전에 치를지는 미정
친이계 의원들 “선거 책임회피” 반발
7·30재보선 전에 치를지는 미정
새누리당이 17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전대)를 지방선거 이후에 치르기로 결정했다. 다만, 전대를 7·30 재보선 이전에 열 것인지 이후에 열 것인지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에 대해 그동안 “새로 선출된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지방선거를 치러야 한다”며 6·4 지방선거 이전 전당대회 개최를 요구해온 당내 친이계 의원들은 “지방선거 책임 회피”라며 반발했다.
함진규 새누리당 대변인은 최고위 뒤 브리핑을 통해 “전당대회 개최 시기와 관련해서는 6월4일 지방선거 이후로 하는 문제에 이견이 없었다”며 “사무처에서는 8월 중순을 제안했으나 최고위에서는 이보다 앞당겨 6월 말 또는 7월 중순으로 하자는 의견 제시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지난 13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조기 전당대회론’을 강하게 주장했던 친이계 의원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김영우 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6·4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도 전당대회를 (선거 이전에) 열어 당에 활력과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데 너무 개탄스럽다”며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 실시는 그 누구도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지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용태 의원도 13일 의총 뒤 기자들과 만나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 개최 주장은) 8월쯤에 당권을 잡은 사람이 잘 버텨서 2016년 공천까지 하겠다는 소리 말고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이들은 17일 의총을 다시 열어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이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날 최고위에서는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 개최’를 결정한 반면, 7·30 재보선 이전에 치를 것인지 이후에 치를 것인지를 놓고는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은 “홍문종 사무총장이 사무처의 실무 검토를 거쳐 (7·30 재보선 뒤인) 8월18일 개최안을 제시했다”며 “이에 대해 반대 의견이 있었고 추후에 논의해서 결정하겠다고 결론을 냈다”고 설명했다.
애초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6월 말에서 7월 중순에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공감대가 있었으나, 홍 사무총장이 ‘8월18일 전당대회론’을 들고나온 데 대해서는 “(7월 재보선에 대한) 책임 회피”라는 주장도 나왔다. 심재철 최고위원은 최고위 뒤 기자들과 만나 “일주일 전에 6월 말이나 7월 초에 해야 한다고 최고위원들이 정했다”며 “왜 이런 안(8월18일)이 올라왔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 책임 없이 (재보선을) 하자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