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선개입 수사 주장에 민주당은 1일 “논평할 가치가 없다”며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국가기관의 대선개입과 관련한 박근혜 대통령의 언급이 있은 지 하루 만에 ‘역습’을 당했다며 부글부글 끓었다.
이날 오전부터 새누리당에선 전공노·전교조의 대선개입을 문제삼기 시작했지만, 대변인·원내대변인 등 민주당의 ‘입’들은 일절 대응을 하지 않았다. 김관영 수석 대변인은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문제를 물타기하려는 것이므로 논평할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박용진 대변인도 “국정원은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한 것이고 전공노는 노동조합으로서 대선 앞두고 요구를 한 것으로 경우가 다르다. 새누리당의 전형적인 정국호도용 물타기”라며 말을 아꼈다.
민주당이 새누리당의 공격에 이렇게 ‘무대응’ 방침을 보이는 것은, 잘못 대거리를 했다간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사건이 제대로 풀리지도 않은 채 전공노·전교조 문제로 여론의 관심이 옮아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국정감사를 통해 적지 않은 사실과 정황을 밝혀냈고, 이를 비판하는 여론도 높아졌는데 새누리당의 프레임에 말려들면 불리한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박 대통령이 대선개입에 대한 엄정조처 방침을 밝힌 지 하루 만에 야당의 뒤통수를 쳤다며 분노하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박 대통령이 철저하게 조사하고 불편부당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한 게 이런 것이냐”고 성토했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국가기관의 대선개입과 관련한 사과와 책임자 문책을 거듭 요구했다. 김한길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의 사과로 정국을 매듭지어야 한다. 이미 충분히 문제가 드러난 인사들에 대해선 문책 인사가 있어야 하고, 국정원 개혁 특위를 국회에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혜정 이승준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