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가운데)이 15일 오후 서울 삼청동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하고 있다. 발표장에는 윤창중 대변인(김 위원장 오른쪽), 유민봉 총괄간사가 참석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국민 아이디어 받지 안을 듯…‘불통 인수위’ 논란 자초?
윤창중 대변인, ‘풀기자단 운영’도 기자단에 일방통보
윤창중 대변인, ‘풀기자단 운영’도 기자단에 일방통보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새 정부의 이름을 짓는 과정에서 ‘내실이 없다’는 이유로 국민들로부터 아이디어를 받는 과정을 거치지 않을 전망이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21일 오전 브리핑 뒤 기자들을 만나 “(새 정부 명칭에 대한) 대국민 공모를 안 하는 이유가, 내실이 없(기 때문이)다. 효율적으로 해야 되는데…, 국민과의 소통을 두려워해서가 아니라 꼭 그 절차를 거쳐야 하느냐의 문제가 있어서, 그렇게(공모를 거쳐서) 한다기보다도 내실있게, 그런 차원에서 국민 공모 과정이 불필요한 게 아닌가, 현재까지는 이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인수위는 “새 정부의 국정비전과 국정과제를 수립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에 본격 착수한다. 새 정부의 정부 명칭에 대한 작업도 동시에 전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박근혜 정부의 새 명칭에 대한 국민들의 아이디어를 폄하하는 이런 태도는 ‘불통 인수위’ 논란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다. 인수위는 박근혜 당선인의 ‘보안 제일주의’ 속에서 정부 업무보고에 대한 제한적인 브리핑, 최대석 전 인수위원의 사퇴 배경에 대한 불분명한 해명 등으로 대외 소통을 등한시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기자들이 현장 상황 등을 고려해 꾸리는 ‘풀(pool·공동취재) 기자단’ 운영에 대한 인수위의 태도도 문제로 지적된다. 윤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인수위의 현장 방문 일정과 관련, “인수위 출입기자단의 ‘풀제’를 운영해 언론에 상세하고 투명하게 전달한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밝혔다. ‘풀 운영에 대해 기자들과 협의가 됐느냐’는 질문에는 “된 것 같은데요? (질문한 기자는) 못 들으셨나요?”라고 되물었다.
그러나 확인해본 결과, 인수위를 담당하고 있는 기자들은 풀 운영에 대해 인수위 쪽과 협의 또는 합의를 한 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기 인수위 대변인 미디어지원실장은 “사진기자단에서 ‘현장 방문은 풀(공동취재)로 해줘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얘기를 해왔다”고 말했으나, 사진기자단 쪽에선 “주최쪽이 풀 요청을 해왔을 때, 그 요청이 타당하면 수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수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그대로다. 달라진 것은 없다. 먼저 풀 취재를 제안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풀 기자단은 취재원의 요청이나 현장 상황을 고려해 기자들이 꾸리는 것으로, 인수위의 경우처럼 주최 쪽이 ‘풀로 운영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면 현장 정보를 제한적으로 언론에 공개하는 등의 폐단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날 인수위는 24일 외교국방통일분과의 분과의 경기도 연천 전방부대 방문을 시작으로 각 분과별로 현장 방문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현장방문 일정에는 광주광역시 소재 감사원 국민기업불편신고센터(정무분과 25일), 서울 서대문구 소재 시장(경제1분과 2월1일),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센터(교육과학분과 2월5일) 등이 포함됐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또또 이동흡 의혹…“근무시간에 무단 해외여행”
■ “이동흡 ‘생계형 권력주의자’로 불러야”
■ 민주당, ‘박근혜 정책 지킴이’ 나선다
■ “독감 예방 주사 맞았는데 왜 감기가?”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 또또 이동흡 의혹…“근무시간에 무단 해외여행”
■ “이동흡 ‘생계형 권력주의자’로 불러야”
■ 민주당, ‘박근혜 정책 지킴이’ 나선다
■ “독감 예방 주사 맞았는데 왜 감기가?”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