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한 전 법무 발언 논란…분노하는 민주·친노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가족까지 수사를 종결한 것은 아니었다”는 김경한 전 법무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야권의 ‘친노’ 진영은 발끈했다.
천호선 전 청와대 대변인(통합진보당 대변인)은 29일 “논란을 불러올 수 있는 청와대나 검찰이 아닌 전직 장관이 ‘노무현 흠집내기’의 총대를 대신 멘 것”이라며 “이번 총선에서 ‘친노’ 후보가 대거 출마하면서 ‘노무현 대 이명박’의 구도가 형성되자, 노무현 대통령과 친노 세력을 부도덕한 세력으로 몰고 가려는 저들의 의도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춘추관장을 했던 김현 민주통합당 수석부대변인은 이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으로도 부족한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어 “국민들이 받은 충격과 분노에 대해 일말이라도 책임지겠다는 마음이 남아 있는가. 자숙할 것을 경고한다”고 밝혔다. 김 부대변인은 “최근 야당 대표를 직접 거론하며 총선을 지휘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며 “전직 장관으로서 수사팀에 부당한 수사 지시를 한 데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서울 중랑을 예비후보)은 “김 전 장관의 발언은 궤변”이라며 “당시 검찰의 수사 자체가 노 전 대통령이 아닌 가족을 상대로 한 것이었으므로, 종결한 것 또한 노 전 대통령 가족에 대한 수사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양 전 비서관은 “이명박 정부 들어 여러 기획수사를 주도한 김 전 장관이 내민 알리바이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