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의 비서실장인 이학재 의원(왼쪽)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이 30일 오전 회의에서 박 위원장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친이계 ‘실세 책임론’에 부글…직접 대응은 자제
김종인·이상돈 ‘용퇴론’ 재점화…권영세도 가세
김종인·이상돈 ‘용퇴론’ 재점화…권영세도 가세
김종인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이 30일 “당을 이런 상황으로 이끌어온 데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한 분들은 책임질 각오를 하는 게 가장 온당하다”고 밝혔다. 이상돈 비대위원은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관련자들도 인적쇄신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외부 비대위원 두 명이 이른바 ‘엠비(MB) 실세’ 및 기존 당 실세 등의 용퇴론을 재점화하면서 그 대상을 조금씩 구체화하는 모양새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의석이 166석이나 되는 정당이 이런 상황까지 도래했다고 하는 것은 세계 어느 정당사를 봐도 굉장히 한심한 상황”이라며 “(그런데도)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는 분들이 없다. 본인들이 얘기를 안 하니까 결국 다른 사람들이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상돈 비대위원은 이날 비상대책위 전체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쇄신 대상’으로 “상징적 인물이 (물갈이 대상에) 있는가 없는가에 국민은 관심이 많을 것”이라며 “서울시장 선거를 망친…(인물)”을 ‘물갈이의 상징’으로 거론하기도 했다. 무상급식 주민투표 패배 뒤 시장직을 사퇴한 오세훈 전 시장 쪽 인사나 나경원 전 후보 등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권영세 사무총장도 이날 라디오에서 “책임을 져야 할 분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건 당연한 얘기”라며 외부에서 온 두 비대위원의 ‘인적쇄신론’에 힘을 실었다.
하지만 당사자 쪽은 최대한 대응을 자제하는 눈치다. 갈등이 불거질수록 ‘쇄신 대상’으로 조명받게 되고, 대선까지 앞둔 마당에 계파논리에 따른 ‘공천 학살’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한 친이계 의원은 “차라리 공천 기준에 ‘엠비 부역자’는 안 된다고 하라”며 “당을 쪼개지 않으려면 비대위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선거 때 당을 이끌기도 했던 홍준표 전 대표는 ‘실세 용퇴론’에 대해 “당에서 대표를 했다는 게 불명예스럽게 된다는 게 참 유감스럽다. 여당 대표 했다는 게 무슨 흠집이 되느냐”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