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강용석의원 요청에 안철수연구소 특별평가
교과부, 산하기관·일선학교 백신 구입내역까지 조사
교과부, 산하기관·일선학교 백신 구입내역까지 조사
지식경제부 산하 산업기술평가관리원(산기평)이 안철수연구소에 대한 특별점검에 나서면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대한 정부·여당의 압박 논란이 일고 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대한 한나라당 소속 경기도의회 의원들의 예산지원 중단 압력, 안철수연구소 주도의 컨소시엄에 대한 국회의 예산삭감 시도, 산기평의 특별점검 등 안 원장에 대한 정부·여당의 잇단 ‘견제구’가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안 원장에 대한 압박의 표적은 그가 설립자이자 이사회 의장인 안철수연구소(안랩)다. 교육과학부는 최근 산하기관, 교육청 및 일선 학교들이 최근 5년간 구입한 백신프로그램의 상세 내역을 조사했다. 업계 사정에 정통한 한 인사는 “교과부 쪽뿐만 아니라 금융기관들도 백신프로그램 거래내역 제출을 요구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에서 이런 조사를 벌이니 프로그램 공급 중간상들이 불안감을 느껴 안랩이 큰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업계 상황을 전했다.
안랩은 현재 지식경제부 산하 산업기술평가관리원(산기평)으로부터 정부지원과제 연구성과에 대한 특별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안랩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은 2010년부터 3년간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는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 및 방어기술 솔루션 개발’ 프로젝트를 맡았다. 통상 이런 지원사업은 연 1회 ‘연차 평가’를 하는데, 안랩 컨소시엄은 1년차 사업에 대한 지난 9월 연차평가에서 합격점인 ‘계속 수행’ 평가를 받았다. 이미 합격점을 받은 사업을 국회의원 요구로 재차 평가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국회 지식경제위는 8일 이 사업 관련 예산 14억원을 삭감했다가 9일 야당의 요구로 사실상 백지화하기도 했다.
안랩 관련 자료 제출이나 특별평가 실시를 요구한 사람이 다름아닌 한나라당을 탈당한 강용석 무소속 의원이다. 강 의원은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부터 안 원장을 집요하게 공격했다.
안 원장이 지난달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직을 사임했을 때에도 외압 논란이 일었다. 당시 10·26 보선을 앞두고 경기도 의회의 한나라당 의원들은 “안 원장이 정치에 계속 개입한다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대한 예산 지원을 전면 중단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해마다 경기도 예산 35억원을 지원받는 기관이다.
김외현 권오성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