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학에서 23일 오전 학위수여식을 마친 졸업생들이 취업 관련 서류를 준비하려고 증명서 발급기 앞에서 졸업 가운을 입은 채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or@hani.co.kr
‘남은 2년’ 요구와 당부
참석자들이 한결같이 주문한 것은 ‘소통’과 ‘민생’이었다. 지난 3년간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서 드러난 가장 큰 문제점이 ‘일방통행식 리더십’과 ‘서민경제의 위기’에 있다고 보는 탓이다. 다만 이 대통령을 지지하는 쪽은 ‘소통’에, 지지를 철회한 쪽은 ‘민생’에 한층 무게를 두는 모습이었다.
지지자인 서재길씨는 “국정에서 소외된 친박근혜계 인사들을 확실히 껴안아 당내 분란을 봉합하고 레임덕이 조기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현진씨는 “여당내 중진들뿐 아니라, 야당과도 대화를 많이 해야 한다”며 “한나라당이나 차기 대선주자를 위해서라도 안팎과의 소통에 주력하면서 추가로 일을 벌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정인씨는 “가시적 업적 쌓기에 혈안이 돼 서민들 삶이나 경제를 돌보는 데 소홀했다”며 “과학비즈니스벨트나 동남권 신공항 같은 대형 국책사업에 매달릴 게 아니라, 물가고 등으로 표류하는 민심을 수습하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경색된 남북관계의 원인을 ‘소통 부족’에서 찾으면서 “앞으로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통일을 향해 가려면 (남북간에) 원활한 소통이 있어야 할 것”(윤정호씨)이란 지적도 있었다.
하지만 남은 2년간 이명박 정부에 바라는 기대 수준은 매우 낮았다. 지지자인 이길승씨마저 “지난 3년과 마찬가지로 민생 챙기기는 뒷전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총선과 대선 등 정치 일정이 본격화하면 “생존을 위한 정치권의 이기주의가 극에 달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이유였다. 윤정호씨는 “국정 운영을 회사 경영처럼 하려는 마인드가 너무 강해 정국 경색이 임기 말까지 갈 것”이라며 “남은 2년의 국정운영 성적도 30점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비관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