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차명계좌” 뒤이어 또 물의 발언
파업 과잉진압·고문수사도 입길에 올라
경찰 내부에서조차 자격놓고 논란 일어
파업 과잉진압·고문수사도 입길에 올라
경찰 내부에서조차 자격놓고 논란 일어
경찰청장 후보자에 잇단 비판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유를 차명계좌 때문이라고 발언한 데 이어, 천안함 유가족의 감정표출을 동물에 빗대 비하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적격성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조 후보자의 잇단 막말에 대해 경찰 내부에서조차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조 후보자는 내정 당시부터 경찰 총수로서 자격이 있는지를 놓고 논란이 일었다. 2009년 쌍용자동차 노조 파업에 대한 진압을 두고는 ‘과잉진압’이란 비판이 있었고, 올해에는 무리한 실적주의로 서울 양천경찰서의 피의자 고문 사건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조 후보자는 경기경찰청장이던 지난해, 노조원들이 점거농성을 하고 있는 쌍용차 평택공장 진압 과정에서 사람에게 해로운 최루액과 사망 위험이 있는 테이저건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해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올 초 서울지방경찰청장으로 부임한 뒤에는 부쩍 ‘실적’을 강조했고, 그 와중에 양천서 고문사건과 거기서 비롯된 채수창 전 서울 강북경찰서장의 항명사건이 일어났다. 그럼에도 조 후보자는 “실적주의 때문에 고문이 일어났다면 나머지 경찰서도 유사한 행태를 보여야 하는 것 아니겠냐”며 실적 채근과는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조 후보자가 2007년 경찰청 경비국장 재직 시절 모친상을 당했을 때 무려 1억7400만원의 조의금을 받고, 1998년에는 위장전입까지 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치안총수로서 격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과도한 실적주의 등은 책임지지 않고 말단 직원들만 징계하면서 내부에서도 조 후보자에 대한 반감이 크다”며 “위장전입한 게 사실이라면 이것도 징계를 해야 할 텐데 (조 후보자가) 어떻게 책임질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부산경찰청장이던 2008년 3월에는 “승진을 하려면 (권력 실세인) 이재오 의원이나 이상득 의원을 통해야 가능하다. 이들에게 줄 대는 사람이 많을 테니 1~2순위로 대지 않으면 그마저도 어렵다”고 말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박진 다산인권센터 활동가는 “조 후보자는 그동안의 언행으로 볼 때 경찰청장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올바르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 후보자가 노 전 대통령과 천안함 유족을 언급한 강연 동영상 시디의 회수·폐기와 관련해 경찰은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민주당 백원우 의원은 “그런 막말 강연을 보급하는 데 예산이 쓰였다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라며 “경찰은 언제, 몇 장의 시디가 제작돼 어떤 이유로 회수·폐기됐는지 밝히고, 관련 공문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한명숙 전 국무총리(앞줄 왼쪽 셋째)와 이해찬 전 총리(왼쪽 둘째) 등이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합정동 노무현재단 사무실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가 거액의 차명계좌 때문이라고 발언한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에게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포함한 책임을 물을 것임을 밝히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올 초 서울지방경찰청장으로 부임한 뒤에는 부쩍 ‘실적’을 강조했고, 그 와중에 양천서 고문사건과 거기서 비롯된 채수창 전 서울 강북경찰서장의 항명사건이 일어났다. 그럼에도 조 후보자는 “실적주의 때문에 고문이 일어났다면 나머지 경찰서도 유사한 행태를 보여야 하는 것 아니겠냐”며 실적 채근과는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조 후보자가 2007년 경찰청 경비국장 재직 시절 모친상을 당했을 때 무려 1억7400만원의 조의금을 받고, 1998년에는 위장전입까지 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치안총수로서 격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과도한 실적주의 등은 책임지지 않고 말단 직원들만 징계하면서 내부에서도 조 후보자에 대한 반감이 크다”며 “위장전입한 게 사실이라면 이것도 징계를 해야 할 텐데 (조 후보자가) 어떻게 책임질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조 후보자는 부산경찰청장이던 2008년 3월에는 “승진을 하려면 (권력 실세인) 이재오 의원이나 이상득 의원을 통해야 가능하다. 이들에게 줄 대는 사람이 많을 테니 1~2순위로 대지 않으면 그마저도 어렵다”고 말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박진 다산인권센터 활동가는 “조 후보자는 그동안의 언행으로 볼 때 경찰청장의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올바르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 후보자가 노 전 대통령과 천안함 유족을 언급한 강연 동영상 시디의 회수·폐기와 관련해 경찰은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민주당 백원우 의원은 “그런 막말 강연을 보급하는 데 예산이 쓰였다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라며 “경찰은 언제, 몇 장의 시디가 제작돼 어떤 이유로 회수·폐기됐는지 밝히고, 관련 공문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