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월계동의 한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들이 아이들과 그림 그리기 수업을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집중진단 이명박 정부 2년] 보육정책 평가
정부재정 큰부담 이유로
공공보다 민간 확충 치중
가정보육비 지원 늘었지만
저소득층 이상 혜택 미미 복지정책 분야 가운데 보육은 이명박 정부 2년 동안 지원이 크게 늘어난 분야로 꼽힌다. 이명박 대통령의 10대 공약 가운데 하나인데다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와 직접 맞물려 있는 탓이다. 우선 정부의 보육료 직접 지원이 눈에 띄게 확대됐다. 부모가 보육료를 전액 지원받는 만 0~5살 영·유아의 규모가 2008년 39만명에서 지난해 62만명, 올해는 76만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또 보육시설을 다니지 않는 영·유아를 위해 지난해 7월부터 만 1살 이하 자녀를 키우는 저소득층 가정에 월 10만원의 양육수당도 지급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의 ‘체감온도’는 그리 높지 않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소속 이애주 한나라당 의원이 지난해 11월 전국의 성인 남녀 971명을 대상으로 정부의 저출산 대책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46%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성과가 있었다’는 응답은 17%에 그쳤다. 이처럼 정책의 체감온도가 낮은 것은 아직 보육예산이 적어 저소득층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가 가족정책에 쓰는 재정지출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0.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나라 평균(2.1%)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만 1살, 4살짜리 아이의 엄마인 이아무개(32·서울 은평구)씨 부부는 맞벌이로 월 400만원 가량 버는데, 집과 자동차가 있어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한다. 정부가 소득 하위 70%(4인 가족 월 436만원 이하)까지 보육료의 30~100%를 지원하고 있지만, 이씨 부부는 집과 자동차가 소득으로 환산되기 때문에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씨는 첫째(40만~50만원)와 둘째(34만원) 아이의 보육료로 한 달에 74만~84만원을 쓰고 있다. 공공보육시설이 턱없이 적은 것도 문제다. 우리나라 전체 보육시설 3만3499곳(2008년 기준) 가운데 5.5%인 1826곳만 국·공립이다. 프랑스의 경우 우리나라와 정반대여서 민간보육시설이 1.5%에 불과하다. 수익을 내야 하는 민간보육시설은 대부분 현장학습비나 특강비 등 ‘가욋돈’을 걷고 있어, 정부가 보육 지원을 늘려도 부모들의 부담은 줄지 않고 있다. 값이 싼 국공립시설을 이용하고 싶어도 경쟁이 치열하다. 전국적으로 대기자가 11만명이 넘는다. 한 곳당 평균 60명 가량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보육 관련 공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