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i.co.kr/section-kisa/2005/04/05/003000000120050405R02337097_1.jpg)
“퇴장! 우익교과서” 5일 오전 서울 중구 언론재단 7층 환경재단 기자회견장에서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주최로 열린 ‘일본교과서 검정에 대한 한·중·일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미강 상임운영위원장, 서중석 상임공동대표, 안병우 공동운영위원장(앞줄 왼쪽부터) 등 참석자들이 일본 역사왜곡 교과서를 비판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4년전 왜곡’ 수정요구 무시
식민지근대화론 등 유지
일 "상당한 개선" 은 허구
5일 발표된 일본 문부성 역사교과서 검정 결과는 잣대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지난 3월 공개된 검정 신청본을 기준으로 하면 ‘개선’된 측면이 있지만, 현행 교과서인 2001년판과 비교하면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후소사 교과서가 등장하기 이전인 1997년판 교과서 서술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번에 검정 통과된 대부분의 역사교과서들은 ‘개악’으로 평가받을 수밖에 없다. %%990002%% 일본 문부성이 이번 검정 결과에 대해 “상당한 개선”이라고 자평하는 반면, 국내 역사학자들이 “교묘한 개악”이라고 반박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모두 8종의 역사교과서 가운데 논란의 중심인 후소사 역사교과서가 대표적이다. 안병우 한신대 교수는 “후소사판 교과서의 내용은 검정 과정에서 일부 수정되어 신청본에 비해서는 나아졌지만, 한국을 보는 관점은 변함이 없으며, 일부 서술은 오히려 2001년판보다 개악됐다”고 지적했다. 여론의 관심에서 밀려난 다른 교과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도 비슷한 결론에 이른다. 45개 주제·항목에 대해 역사학자들의 자문을 받아 한국 정부가 내놓은 검정결과 분석 자료를 보면, 8종의 역사교과서 가운데 ‘개선’되거나 ‘일부 개선’된 항목은 모두 8개이며, ‘개악’된 항목은 7개다. 이 가운데 후소사판 교과서의 개악 내용이 5개로 가장 많았다. 반면, ‘현행 수준’으로 평가된 것은 26개 항목이다. 문제는 이 26개 항목 모두 지난 2001년 검정 당시, 한국 정부가 수정을 요구한 내용이라는 데 있다. 당시의 역사왜곡 수정 요구가 이번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특히 지난 3월, 검정신청본 공개 당시부터 문제가 됐던 ‘식민지근대화’ 주장은 검정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후소사 교과서의 신청본에서 ‘조선의 근대화를 도운 일본’이라는 신설 항목의 제목이 검정본에서 ‘도운’이라는 말을 빼고 ‘조선의 근대화와 일본’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그러나 일본 식민지배가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역사관은 후소사판 검정본 곳곳에서 확인된다. 중국과 조선의 관계를 중국에 ‘복속’된 역사로 서술한 것을 ‘조공’으로 바꾸긴 했지만, 중-일, 청-일 전쟁을 합리화하는 ‘한반도 흉기론’ 주장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런 인식은 지난해 12월 신방위대강에서 북한에 이어 중국을 잠재적 위협으로 추가한 오늘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