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총리 지명자가 24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총리 지명을 축하하는 한 여성 의원을 껴안고 활짝 웃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2년반만에 380명서 590명으로 늘어
“비대 인력·조직 정리 불가피” 분석도
“비대 인력·조직 정리 불가피” 분석도
총리실 어떻게 변하나 한명숙 열린우리당 의원이 새 총리로 지명됨에 따라 향후 총리실 조직과 인력 운용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일단 노무현 대통령이 24일 낮 한 총리 지명자와 만난 자리에서 ‘책임총리제’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확인돼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해찬 전 총리의 경우 노 대통령으로부터 외교·국방·통일 등을 제외한 내치 관련 국정 전반에 대해 전권을 넘겨받았다. 이 과정에서 2003년말 380여명에 불과했던 총리실 인원은 지난 15일 사표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590여명까지 늘어났다. 청와대 직원 560여명보다도 훨씬 많은 숫자다. 각종 위원회와 기획단이 생기면서 각 부처에서 파견된 고급 인력이 급격하게 늘어난 때문이다. 이 전 총리가 재직한 기간동안 청와대 직속 위원회는 23개에서 25개로 늘어난 데 비해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있는 위원회는 참여정부 초기의 35개에 비해 2006년 3월 현재 49개로 증가했다. 총리실 산하 기획단도 지난 한해에만 용산민족역사공원건립추진단과 제주특별자치도추진기획단, 한-일수교문서공개대책기획단 등 3개가 신설돼 지금 모두 9개에 이른다. 이 전 총리 취임과 함께 조직과 인력이 급격히 늘어난 국무조정실은 국정운영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런 방대한 조직을 유지하는 데 대한 비판도 제기돼왔다. 한 총리 지명자가 이런 방대한 조직을 그대로 유지할 지는 미지수다.
총리실 안팎에서는 한 지명자가 오게 되면 총리실 조직과 인원의 감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총리실의 한 비서관은 “새 총리가 오게 되면, 설사 책임총리제가 지속되더라도 지금의 비대해진 조직과 인원이 추려지는 진통은 다소 겪어야 할 것 같다는 게 총리실 분위기”라고 전했다. 최익림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