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투기 의혹’ 등 잇단 악재에 대대적인 당 혁신 작업을 예고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외부 인사에게 당 혁신위원장을 맡기고 전권을 위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파악됐다. ‘외부 인사를 혁신위원장에 앉히고 전권을 줘야 한다’는 비이재명계의 요구를 고려한 조처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4일 혁신위에 전권을 주는 방향으로 방침을 굳히고 위원장 후보를 물색하고 있다면서, “이는 혁신위에서 결정한 내용을 지도부가 최대한 수용한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 당헌·당규상 혁신위가 당 쇄신안을 의결하더라도 최고위·당무위·중앙위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14일 쇄신 의원총회에서 당 쇄신을 이끌 당 차원의 혁신기구를 꾸리겠다고 뜻을 모은 바 있다. 그러나 위원장 인선과 기구 구성·권한 등을 놓고 비명계와 친명계 간 신경전이 계속돼왔다. 비명계가 외부 인사를 위원장에 앉히고 전권을 줘야 한다고 당 지도부를 압박하자, 친명계도 “임명된 권력이 선출된 권력(지도부)을 대신할 수는 없다” 등의 반론을 펴며 계파 간 갈등 조짐까지 불거졌다. 결국 보름이 넘도록 혁신기구 구성에 진척이 없자, 당 지도부가 비명계 요구를 일부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혁신위가 갖게 될 ‘전권’의 범주를 두고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비명계 일각에서는 혁신위가 이재명 대표의 거취 문제까지 열어놓고 당 쇄신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때문이다. 반면, 당 지도부의 또다른 관계자는 “당 쇄신안과 이 대표의 거취를 연동 짓는 것 자체가 (이 대표를 혁신 대상으로 삼는) 일종의 프레이밍(구도화)”이라고 견제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