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지난달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12일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반복하고 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공개 표명하는 등 한반도와 지역 정세를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있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외신기자 간담회를 열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북한의 비핵화를 지지하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유도해 가는 한편 중국과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북한이 ‘전술핵 운용부대’ 활동을 공개한 뒤 국가안보실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실장은 “국가안보실은 북한의 도발 즉시 합참으로부터 상황 보고를 받고 한국의 확고한 대비태세와 효과적인 대응 방안들을 협의해 왔다”며 “윤석열 정부는 우리 국민들이 안심하고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국제적 고립을 더욱 심화시킬 뿐임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 이 두 가지를 항상 염두에 두고 압도적인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통한 대북 억제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어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발사가 “실질적인 한·미 연합 방위 및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줬다”며 “10.10(전술핵 운용부대 군사훈련) 발표 이후 어떠한 행태를 보일지 미리 예단할 수는 없으나,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철저히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또 윤석열 정부 출범 뒤 △행동하는 한·미 동맹 구현 △자유를 위한 국제연대 동참 △한·일 관계 개선 및 한·미·일 안보협력 복원 △경제안보 강화 등 외교 성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