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대표가 지난 1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헌 효력 정지 가처분 심문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위원장 이양희)가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에 착수하자 19일 국민의힘 안에서는 징계의 정당성을 둘러싼 공방이 이어졌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당 윤리위 일에 대해서 그 어느 누구도 개입하거나 영향을 줄 수 없는 사안”이라며 “전직 당대표의 성상납 의혹과 이를 은폐하기 위한 무마 의혹으로 경찰 조사 등 일련의 법적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윤리위 징계와 뒤이은 사법적 구명 운동으로 인해 여당이 여당다운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내홍의 책임이 이 전 대표에게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김종혁 비대위원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 전 대표가 당원들에게 하는 발언들은 이미 도를 넘었다”며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이 전 대표가 잔도(험한 벼랑 같은 곳에 낸 길)를 불사른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얘기하고 타협할 수 있는 게 없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 “정치판에는 표현의 자유도 있지만 징계의 자유도 있다”, “세상은 언제나 본인 중심으로만 돌아가지 않는다”고 적으며 이 전 대표를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당을 상대로 한 자신의 연이은 가처분 신청이 방어적 성격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공격용 미사일을 쏘지 않으면 요격 미사일을 날릴 이유가 없다”며 “가처분의 대상이 되는 행위들을 하지 않으면 된다”고 적었다. 이 전 대표 변호인단도 입장문을 내어 “국민의힘의 추가 중징계 처분에 대해 가처분뿐만 아니라 유엔(UN) 제소 등 모든 법적 수단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전 대표 징계를 주도하고 있는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유엔 인권이사회 특별보고관 경력을 갖고 있다. 이 전 대표 시절 지도부였던 김용태 전 최고위원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당 통합에 가장 문제를 일으킨 건 (윤석열 대통령의) 내부총질 문자인데, 윤리위가 여기에 대해선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고 이중 잣대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