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대통령실 관련 의혹 진상규명단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실 의혹을 정조준하며 윤석열 정부의 첫 국정감사에 대비한 대여 진용을 갖췄다. 국정농단 사건의 단초가 드러났던 2016년 정기국회 때처럼 국감 시작 전부터 팀플레이를 통해 화력을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대통령실 관련 의혹 진상규명단’ 첫 회의에서 “대통령실과 관련한 국민적 의혹을 발본색원하겠다”며 “국민의힘은 잘못된 충정으로 대통령 내외 지키기에 급급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국정조사에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진상규명단장을 맡은 한병도 의원도 “대통령실 관련 의혹이 쌓이는데도 정부와 대통령실은 국회 자료 제출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며 “국정조사와 국정감사를 통해 의혹을 밝혀내겠다”고 강조했다.
진상규명단은 위성곤 원내 정책수석부대표와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김영배 간사, 고민정 최고위원 등이 이끈다. 또 김병주(국방위)·이탄희(법제사법위)·최기상(행정안전위·운영위) 의원 등 관련 상임위원들을 골고루 포진시켰다. 티에프(TF)를 구성해 팀플레이를 주문했던 2016년 국정감사 때와 유사하게 상임위별로 사안을 전담하고 때로는 공유하면서 대통령실 관련 의혹을 밝혀내겠다는 것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국회에 자료도 제출하지 않고 눈 하나 깜짝 안 하고 있으니 과거 국정농단을 밝혀내려던 강도로 노력할 수밖에 없다”며 “원내에서는 국정감사장에서 팀플레이가 이뤄질 수 있게 역할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당장 국회 운영위에선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의 사적 수주 의혹, 대통령실 사적 채용 의혹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안위는 수해 등 긴급 재난 시 컨트롤타워 부재와 부실 대응 의혹 등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법사위는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야권을 겨냥한 검찰 수사, 감사원의 표적감사 문제를 지적할 계획이다. 교육위는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 의혹을 부각하기 위한 국감 증인 채택을 벼르고 있다. 민주당은 청와대 개방과 활용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도 톺아보기 위해 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의원도 진상규명단에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다.
진상규명단은 제보센터를 설치해 대통령실 관련 비위 정황도 끌어모으겠다고 밝혔다. 국감 팀플레이와 제보 접수 등은 ‘김건희 특별검사법’ 추진을 위한 여론전의 일환이다. 민주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김건희 특검법이나 국정조사는 야당 단독으로 통과시키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국정감사를 통해 추가로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을 계속 공론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