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의를 마치고 2일 인천국제공항에 귀국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2일 북한의 7차 핵실험은 “절대 6+1이 아니다”라며 강력하게 경고했고 “핵실험을 하게 되면 한·미·일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회의를 마치고 이날 귀국한 김 실장은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했을 때 한·미·일이 국제사회와 더불어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윤석열 정부의 북한 비핵화 전략인 ‘담대한 구상’에 대해서도 “일본, 또 미국과 저희가 상당히 밀도있는 협의를 거쳤기에 이번 3자 회의에서도 미국과 일본이 전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며 “대화를 통해 북핵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도록 3자가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한국산 전기차가 미국의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된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관련해선 “(미국은) 단기적으로 (한·미) 양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지가 있는지 다시 한번 국가안전보장회의 차원에서 면밀히 들여다보고 우리 측에 알려주겠다고 했다”며 “미국 백악관 차원에서 상당한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일본 쪽과 한일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시기도 논의했다고 했지만 “현재 밝힐 단계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오는 9월) 유엔(총회)을 비롯한 다자회의 계획이라든지 아니면 그 전후, 필요하다면 양 정상이 이른바 ‘셔틀 외교’의 형태로 만나 그 해법을 구체적으로 국민에게 밝힐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번 회의 결과를 두고 “한·미, 한·일 양자와 한·미·일 3자 회담을 굉장히 밀도있게 효과적으로 진행했다. 3국 간 전략적 공감대가 있으니까 여러 현안과 이슈들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다양하게 효과적으로 협의했다”고 평가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