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오전 국회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 구성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권성동 원내대표의 비대위 참석이 적절한지를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주 위원장은 전당대회 준비용 단기 비대위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거듭 표시했다.
안철수 의원은 10일 <엠비엔>(MBN) 인터뷰에서 권 원내대표가 당연직으로 비대위원에 포함되는 게 바람직한가라는 논란에 관해 “권 원내대표가 스스로 재신임을 묻고, 의총에서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의총에서) 통과되면 다시 굳건하게 리더십을 갖고 당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내부총질’ 문자 유출 등 비대위 체재를 초래한 책임이 있는 권 대표가 비대위 참여에 관해 당내 승인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다고 한 것이다. 이준석 대표 쪽에서도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있다.
권 원대내표는 비대위 참여는 당연하다는 태도다. 그는 이날 ‘비대위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있다’는 취재진의 물음에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라고 일축했다. 다만, 주 위원장은 전날 “상황이 어려운 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비대위에 참여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며 친윤계의 비대위 참여에 부정적인 뜻을 나타내면서도 권 원내대표에 관해서는 “당헌·당규에 당연직으로 참석하게 돼 있는 경우 비대위원장으로서 어떻게 할 도리가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주 위원장은 비대위가 전당대회 준비만을 위한 단기 관리형이 되어선 안된다고 했다. 그는 당내 일부의 9∼10월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에 대해 “그러면 비대위를 할 게 뭐 있느냐.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면 되지”라고 말했다. 주 의원은 9월부터 연말까지 이어지는 정기국회가 끝날 때까지는 비대위가 활동하며 당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런 가운데 친윤계는 발족이 연기됐던 ‘민들레’(민심 들어볼래) 모임을 이름을 바꿔 8월말 출범시키기로 했다. 조기 전대가 현실화하며 안철수, 김기현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 등이 대표 출마 의지를 표시하는 상황에서 친윤계가 세력화에 나선 것이다. 모임 간사인 이철규 의원은 <한겨레> 통화에서 “가입 의사를 밝힌 의원은 57명”이라고 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