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열린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하이브리드전으로 변모하는 전쟁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전력과 기술을 고도화하겠다”며 ‘사이버 예비군’ 창설 계획 등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기도 판교 제2테크노벨리 기업지원 허브에서 열린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사이버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민·관 사이버 합동 대응 방침을 밝혔다. 대통령이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직접 참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사이버 안보 강화를 위한 새 정부 정책 방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선 “군 전문분야 복무와 전역 후 취업과 창업을 연계하는 ‘사이버 탈피오트’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탈피오트는 군복무 기간 과학기술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스라엘의 군복무 프로그램이다. 윤 대통령은 또 “사이버 인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과 대학원의 사이버 전공 과정을 확대하고, 최정예 개발인력과 화이트해커 육성체계를 통해 10만 인재를 양성해 사이버 안보기술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민간과 공공이 긴밀히 협력하는 사이버 안보 대응 체계를 공고히 하고, 민간과 공공 간 유기적인 정보공유 분석체계를 구축해 사이버 위협을 효율적으로 예방·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가 비상상황에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사이버 예비군’도 창설해 사이버전 수행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최근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참석했던 윤 대통령은 국제 공조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사이버 위협에는 국경이 없다.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며 “미국, 나토, 우방국과의 긴밀한 협력과 사이버 훈련을 통해 사이버국제협력 네트워크를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사이버 범죄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부다페스트조약’(사이버범죄조약) 가입도 신속하게 추진해서 사이버 규범 수립을 위한 국제 공조에 적극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 정보보호 발전에 기여한 정보보호 유공자 4명에게 각각 녹조근정훈장, 산업포장, 국민포장,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난 뒤 해킹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공격‧방어 훈련을 할 수 있는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도 방문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