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오른쪽)와 성일종 정책위의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친윤석열계를 주축으로 한 국민의힘 의원모임 ‘민들레’(민심 들어 볼래)를 놓고 국민의힘 내부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권성동 원내대표가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모임 결성을 접어달라고 요청했지만 장제원 의원 등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맞서는 등 친윤계 안에서도 이견이 노출됐다.
권 원내대표는 10일 국회 원내대책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당초 의도대로 (모임을) 만드는 게 굉장히 어려운 것 아닌가”라며 “이런 부분을 고려해 주도하는 측에서 모임의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들레 모임이 친윤 세력화로 의심을 받고 분란의 단초가 될 수 있으니 없던 일로 하자는 권고였다. 권 원내대표는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의 또 다른 축인 장제원 의원을 포함해 모임에 합류하기로 한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자칫 잘못하면 오해를 받을 수 있으니 모임을 발족하지 않는 게 좋겠다”는 뜻을 전했다.
하지만 장제원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 통화에서 “권 원내대표에게도 모임이 외부로 알려지기 전, 운영 방식과 취지에 대해 설명했고 저도 일원으로 참여하겠다고 얘기했는데 뭔가 오해가 있는 것 같다”며 “모든 분들이 참여하는 오픈 플랫폼인데 ‘당 분열’이라고 딱지를 붙이고 ‘사조직’이라고 지적하는 것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전날 이용호·이철규 의원은 “국정 현안에 대한 정책·정보 공유”와 ”현안에 대한 민심 소통 창구 역할”을 하겠다며 전체 의원들에게 ‘민들레’ 가입을 요청하는 공문을 돌렸다. 모임 결성을 주도한 이용호 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계파 모임이라고 오해를 할 만한 사안이 아니다”라며 “(모임 방향도) 수정할 게 없으며 이달 안에 발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모임에 함께하겠다는 사람은 장제원·윤상현·이철규·이용호·윤상현·박수영·정희용·이용 등 20여명으로 대부분 ‘친윤계’ 의원들이다. 권성동 원내대표의 만류에도 ‘민들레’가 모습을 드러내면 친윤-비윤(주류-비주류) 갈등의 단초가 될 수도 있다.
친윤계와 갈등 관계인 이준석 대표는 이날도 “‘민들레’는 사조직”이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들레가) 애초에 표방했던 기능이 당·정·청 협의와 연계하는 기능을 하겠다는 건데 그걸 담당하는 공조직이 이미 구성돼있으며 그것과 비슷한 기능의 조직은 사조직”이라고 말했다. 혁신위와 지방선거 공천 문제를 놓고 “개소리”-“싸가지”라는 말을 주고받으며 이 대표와 설전을 벌였던 친윤계 중진 정진석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소이부답’(웃을 뿐 답하지 않는다)이 적힌 현판 사진을 올렸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소이부답은 행동으로 하는 것이지, 소이부답을 소이부답 하겠다고 올리는 게 소이부답이 아니다”라고 맞받았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