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왼쪽부터)와 박지현·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 등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2주년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광주전남사진기자회
여야는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데 뜻을 같이 했지만, 이를 위한 개헌 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18일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는 문제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면서도 “지금 총리 임명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다른 과제들이 나오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2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5·18 정신을) 전문에 넣는 것은 개헌을 상정하는 것인데 개헌 논의가 시작될 때마다 권력구조 개편 등 큰 과제가 등장하게 돼 있다”며 “개헌 논의를 시작하는 건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발언은, 더불어민주당이 ‘5·18 정신의 헌법 수록’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공약이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당장 하반기부터 국회 헌법개정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개헌 논의를 시작하자고 주장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국민의힘에선 윤 대통령의 공약인 만큼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개헌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정권 초 개헌 논의가 시작될 경우 모든 이슈가 개헌에 묻힐 가능성이 큰 만큼 급하게 추진해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통령께서 임기를 시작한 지 이제 10일도 안 지났다. 시간이 좀 지나면 다시 개헌에 대한 이야기도 당연히 나오지 않겠냐”며 “그때 자연스럽게 (개헌 논의를) 하면 되는 건데 저는 그런 것(개헌특위)들이 오히려 더 국론을 분열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광주에서 열린 현장중앙선대위 회의에서 “민주당은 5·18 정신을 헌법에 새기는 일을 최대한 서두르겠다”며 “하반기 원구성 때 헌정특위를 구성해 헌법개정 논의에 즉각 착수하겠다”고 말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