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 마련된 당선인 사무실에서 크리스토퍼 델 코소 주한미국대사대리를 접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정부혁신 분야 공약이던 ‘광화문 대통령 집무실’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윤 당선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내 청와대개혁태스크포스(TF)를 꾸려 집무실 이전 문제를 총괄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내 국무총리실 등을 대통령 집무실로 활용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린다.
김은혜 당선자 대변인은 11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광화문 정부종합청사로 대통령실이 이동하는 것은 이미 정치개혁 방안 중 하나로 발표 드린 바가 있다”며 윤 당선자의 광화문 집무실 실현 의지를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실 인사 규모가 추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청사 내의 층수 등은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혔지만, 현재 정부종합청사 안에 있는 총리실을 정부과천청사로 이동하고 대통령 집무실을 총리실 자리로 옮기는 방안 쪽에 무게가 실린다. 이 경우 정부청사의 4~5개 층을 대통령실로 활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윤 당선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내 청와대개혁태스크포스(TF)를 꾸려 집무실 이전 문제와 구성 등 전반적인 상황을 총괄하도록 할 방침이다. 장제원 당선자 비서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해당 티에프는 팀장급 인사들이 모여 실무적으로 일하는 것으로 하겠다. 집무실부터 시작해서 청와대 구성을 어떻게 할것인가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석비서관과 민정수석실, 영부인을 담당하는 청와대 제2부속실을 폐지해 조직 규모를 30%가량 감축하겠다던 공약의 실무적 방향이 청와대개혁티에프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자는 앞서 이날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과 만나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윤 당선자는 청와대의 대통령 관저도 이전을 추진한다. ‘광화문 집무실’ 공약을 내놓으면서 기존 청와대 부지를 국민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그는 대선 공약집에도 “제왕적 대통령 잔재를 청산하겠다”며 “현재 청와대 구조는 왕조시대 궁궐 축소판”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관저 후보지로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 공관이나 용산구 외교부·국방부 장관 공관 등이 거론된다. 윤 당선자는 전날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철희 정무수석을 예방 받은 자리에서도 ‘문재인 정부도 (이전을) 검토하다 실패했다’는 이 수석 말에 “그래도 해야지 어떻게 하겠나. 그것이 국민과 한 약속”이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후보 시절 ‘광화문 집무실’을 약속했으나, 취임 이후 경호와 안전상의 문제가 제기되자 철회한 바 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