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23일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도의회를 찾아 의장단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최근 국회를 통과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시행을 전면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지지율 반등세를 확고히 하기 위해, 노동이사제를 “민노총의 패악”으로 규정하며 보수 진영 집중 공략에 나선 모양새다.
안 후보는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민노총 혁파 시리즈 세부 정책 1편’이란 제목의 글을 올려 “노동이사제 시행 전면 보류해서 민노총의 패악을 막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지난 11일 본회의를 통과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를 “노동자 전체가 아닌 기득권 노동계 표만을 노린 이재명·윤석열 두 후보의 노동포퓰리즘 공동작품”이라고 평가하며 “당선되면 노동이사제 실시를 전면 보류하고 공론화를 통해 충분한 숙고의 시간을 갖고 국민의 뜻을 묻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이어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공기관에 노동이사제가 도입되면 노사 공동책임에 따른 생산성 향상보다는 노사 야합을 통한 도덕적 해이와 방만 경영으로 철밥통만 더욱 단단해질 것”이라며 “민간기업으로 확산될 경우 기업은 민주노총에 지배당하며 우리 경제에 치명적 손실을 끼치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의 이런 발언은, 노동자가 이사회 의결권과 발언권을 확보하게 되면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에 기여하게 되는 긍정적 측면을 배제하고 철저하게 ‘친기업’ 주장만 답습한 것이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23일 <한겨레>에 “노동 구조에 대한 개혁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에 따라서 나온 소신 있는 주장”이라며 “정책실에서 노동 개혁과 관련한 세부 내용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2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유예조치 해제’는 결코 좋은 전략이 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긴 공개편지를 띄우기도 했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공개편지에서 “지금 북한이 오랜 유엔 제재에 코로나19까지 덮쳐 경제적 어려움이 크다는 것을 잘 안다. 문재인 정부의 말만 믿고 막상 부딪쳐보니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고 북미 관계도 평행선만 달리니 답답할 것”이라면서도 “핵실험과 아이시비엠 발사 재개는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안 후보는 이어 “저는 김 위원장께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명확히 밝히시고 대화 재개를 선언하실 것을 진심으로 요청한다”며 “북한당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하는 군사적 활동을 중단하고 남북 간 협의를 통해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구조를 정착하기 위한 노력을 선행한다면, 저는 당선되면 대한민국이 주도적으로 북한의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해 국제사회를 설득해 나갈 것을 약속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와는 ‘다르다’며 안보 리더십 부각에 나선 것이다.
한편, 안 후보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부산·울산·경남 지역을 돌며 “(자신이) 피케이 유일한 후보”라는 점을 강조했다. 대구·경북 등 ‘보수 텃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동층이 많은 이 지역 민심을 챙기며 지지율 탄력을 받겠다는 계산이다. 그는 부산 강서구 부산항만공사신항사업에서 브리핑을 들은 뒤 ‘부·울·경 메가시티 모델’을 언급하며 “중요한 것은 교통 인프라다. 남부 철도라든지 이런 부분들도 지금 계획보다 훨씬 더 빨리 진행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부산 사하구 장림 골목시장을 찾아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민심청취’ 행보를 이어갔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