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8일 오전 서울 주한 독일대사관을 방문, 미하엘 라이펜슈툴 주한독일대사와 녹색 기후 대담을 하고 있다. 정의당 선대위 제공
선거 운동을 중단했다가 닷새 만에 복귀한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기후위기 극복’을 화두로 한 정책 행보를 재개했다. 정의당은 이날 선대위를 ‘기동성 있는 실무형 선거대응 체계’로 개편하며 조성주 정책위 부의장을 종합상황실장에 임명했다.
심 후보는 이날 주한독일 대사관저를 방문해 미하엘 대사와 함께 탄소중립 전략과 탈원전 정책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심 후보는 이 자리에서 한국처럼 제조업 등 탄소중심 산업 비중이 높은 독일이 ‘탄소중립 2045년 달성’이라는 목표를 세울 수 있었던 배경과 독일 정부의 전략에 대해 조언을 구했다.
미하엘 대사는 “(탈탄소) 전환은 기업에게 큰 도전이나 기업의 입장에서는 미래를 바라본다면 이익에 도움이 된다”며 △수소 연구기금 지원 △전력안전성 확보 지원 △친환경 생산 기업 세금 경감 방안 등 독일 정부의 기업 지원 방안을 심 후보에게 소개했다. 심 후보는 “기후 위기는 어느 한 나라에서만 이룰 수 있는 게 아니고 지구적인 연대와 협력 속에서 풀어나가야 한다”며 “오늘 주신 독일의 사례를 참고해 대한민국도 기후위기 극복 선도국가가 될 수 있도록 저와 정의당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 녹색당에 대선 연대를 제안하며 기후위기 극복 행보를 이어갔다. 심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에 있는 녹색당사를 방문해 “정의당과 녹색당 그리고 기후 위기를 위해서 싸우는 많은 정당, 시민단체가 지방선거에서도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연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지금 모든 후보들이 청년 청년 하고 있는데, 이들 세대의 가장 핵심 과제가 바로 기후위기 문제”라고 강조했다.
심 후보가 본격적인 대선 선거운동을 재개한 이날 정의당은 후보 직속 실무집행기구인 ‘종합상황실’과 후보·당대표·원내대표로 구성되는 ‘전략회의’를 중심으로 하는 선대위 개편안을 발표했다. ‘기동성 있는 실무형 선거대응 체계’를 강조한 것이다. 실무 집행을 총괄하는 종합상황실장은 조성주 정책위 부의장이, 비서실장엔 장혜영 의원이 임명됐다. 미디어 전략을 총괄하는 공보단장은 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이 맡는다. 조성주 종합상황실장은 “욕 먹는 캠페인을 하겠다. 욕을 먹더라도 할 말을 하겠다”며 “세대간 고용형태간 성별간 불평등을 불러오는 연공서열제 임금체계를 비롯해 주요 정당은 침묵하는 연금과 세금 등 진보정치가 미뤄두고 묶혀둔 이야기를 시작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