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본부의 회의장. 유엔 누리집 갈무리
한국 정부가 오는 2024~2025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도전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 1996~1997년, 2013~2014년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적이 있어, 이번에 진출할 경우 세 번째가 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15일 기자들과 만나 “2024년에서 2025년 임기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유엔에 가입한 지 30주년이 되는 올해 여러 기념행사들을 소개하면서 도전할 계획을 전한 것이다.
유엔헌장에 따라 국제평화와 안전유지에 일차적 책임을 지는 안보리는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5개 상임이사국과 2년 임기의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매해 총회에서는 5개 비상임이사국을 선출하게 되는데,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 국가들에 5석, 동유럽에 1석, 라틴아메리카와 카라비안 국가들에 2석 그리고 서유럽 및 기타국에 2석이 각각 배정된다. 안보리 이사국에는 모두 1개의 투표권을 준다.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임기년이 시작하는 전해 6월 총회에서 참석국 즉 유효표의 3분의 2 이상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한국은 193개 회원국 가운데 2023년 6월 총회에 참석한 국가들의 지지를 이끌어내야 이사국에 당선될 수 있다. 외교부 당국자에 따르면 한국이 속한 아시아 그룹에서 출사표를 던진 나라는 없어, 현재로선 단독 후보다. 이 당국자는 “다행히 아직은 (경쟁국이) 없다”면서 “표를 많이 얻어야 하기 때문에 올해 9월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보다 한 해 앞선 2023~2024년 임기에 도전하는 나라는 일본과 몽골 두 나라다. 아직까지는 단일 후보로 추려지지 않았다. 각 권역에서 후보가 지역국들의 합의로 추대되지 않을 경우는 복수로 출마해 총회에서 선출하게 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의 입후보에 대해 한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말에 “아시아 지역에서 단일 후보가 나오는 게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한편 악화한 한-일 관계가 한국의 이사국 진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이 당국자는 “안보리는 일본도 한국도 인도도 주기적으로 (비상임이사국에 출마해왔는데) 다들 이해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반대 캠페인이 있을 수 있지만 한국이 그런 경우에 직면했던 적은 아직 없다고도 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