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전화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1주일 만인 27일(현지시각)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첫 정상 간 통화를 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언제쯤 통화할지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이 한-미 간 첫 통화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먼저 소통한 것이 바이든 행정부의 심기를 건드린 게 아니냐는 의문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는 28일 오전까지 한-미 정상통화가 언제쯤 이뤄질지에 대한 소식을 전하지 않았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아침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제가 알기론 한-미 양국 정상 통화도 곧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한 게 전부다. 정확한 통화 일정이 확인되지 않지만 정 후보자가 “곧 이뤄질 것”이라고 한 만큼 이날 저녁 또는 29일 아침엔 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인 지난해 11월11일 한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 등 인도-태평양 지역의 동맹국 정상과 같은 날 통화했다.
새로 취임한 미국 대통령이 각국 정상들과 진행하는 통화 순서는 새 미국 행정부의 외교정책 방향을 점칠 수 있는 지표로 늘 화제가 됐다. 특히 한-일 사이엔 ‘상대국보다는 빨리 해야 한다’는 암묵적 부담감이 존재한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4명의 미 대통령들은 모두 일본 정상과 먼저 통화를 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취임 직후인 1월28일(현지시각)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첫 통화를 했다. 한국과는 하루 뒤인 29일(현지시각)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첫 유선 협의를 했다. 당시 정상 통화 관련 업무를 맡았던 전직 외교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뒤여서 당시 한국 쪽에서는 통화 성사 여부에도 확신이 없었다”고 했다. 그렇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통화에서 황 권한대행에게 “(북한 문제를 포함해) 미국은 언제나 100% 한국과 함께할 것”이라고 했다.
오바마 행정부 1기 때도 미-일 정상 간 통화는 한-미보다 먼저 이뤄졌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 여드레 만인 2009년 1월28일(현지시각) 아소 다로 일본 총리와 의사소통을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그로부터 닷새 뒤인 2월2일(현지시각) 저녁 첫 통화를 했다. 당시 주요 일간지 보도를 보면, 한-미 동맹이 미-일 동맹에 밀려 위기라는 식의 보도는 없었다. 당시 사정을 잘 아는 전직 외교관은 “그때는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된 지 이틀 만에 통화한 9개국에 한국이 포함돼 있었다. 취임 뒤 통화가 일본보다 며칠 늦어졌다고 신경쓰는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전했다. 그의 말대로 오바마 대통령은 당선 이틀 만인 2008년 11월6일(현지시각)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캐나다, 멕시코, 영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이스라엘, 프랑스 등 9개국 정상과 첫 통화를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당시 통화에서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에 공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일련의 상황을 볼 때 6자 공조를 철저히 함으로써 한반도 비핵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고 했다. 시간을 거슬러 2001년 당시 조시 부시 대통령은 취임 뒤 1월23일(현지시각) 모리 요시로 일본 총리와, 24일(현지시각) 김대중 대통령과 각각 첫 미-일, 한-미 정상 통화를 했다.
줄곧 한-미 간 정상통화가 미-일보다 늦게 이뤄졌지만 이번에 유독 관심이 쏠리는 것은 지난 26일 한-중 간 정상 통화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미-중 관계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미묘한 시점에 통화가 이뤄진 배경을 둘러싼 해석도 분분하다. 청와대는 양국의 새해 명절(설날과 춘절)을 앞둔 시점에서 2022년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양국 정상이 ‘한-중 문화교류의 해’(2021~2022년)를 선포하기 위한 통화로 예정돼 있던 일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썩 좋은 선택이 아니었다는 지적도 있다. 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 뒤 시 주석과 통화하는 것으로 조율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청와대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겠으나, 통화를 하는 쪽으로 최종 판단을 내린 이유는 확인되지 않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