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건 외교부 1차관(오른쪽)이 7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 대사를 만나 기념 촬영을 한 뒤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미를 앞둔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이 주한 일본대사, 중국대사와 처음 만나 양국 간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최 차관은 7일 오전 11시 서울 외교부 청사를 찾은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 대사와 40여분 동안 만나 양국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최 차관과 도미타 대사는 일본의 총리 교체를 앞둔 현 시점이 “양국 관계에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데 의견을 함께하고, 지난해 12월 한-일 정상회담 때 합의한 “대화를 통해 양국 현안의 해결을 모색해 나간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현재 한-일 간 핵심 현안인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최 차관은 “한국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하는 가운데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한-일 외교당국이 지혜를 모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해선 “조속한 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미타 대사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의 준수를 촉구하는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을 것으로 보인다.
최 차관은 이어 오후 4시 외교부 청사를 찾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도 40여분 정도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최 차관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한-중 정상을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소통을 이어오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싱 대사는 최 차관의 평가에 공감하며 “앞으로도 양 국민 사이의 원활한 교류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면담은 코로나19 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마스크를 쓰고 악수 대신 팔꿈치를 부딪치는 인사를 통해 진행됐다.
지난달 18일 취임한 최 차관은 지난달 31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를 면담한데 이어 같은 날 핵심 주변국인 중·일 대사와도 상견례를 끝냈다. 최 차관은 조만간 미국을 방문해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과 회동한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