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절반 이상이 입국 제한
모리타니·부르키나파소 추가
모리타니·부르키나파소 추가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가 6일 오전 현재 102곳으로 늘었다. 정부의 총력 대응에도 유엔 회원국(193개국) 기준으로 전 세계의 절반 이상의 국가가 한국인의 입국에 대한 ‘벽’을 설치한 셈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외교부에서 주한외교단에게 한국의 방역 노력을 직접 설명하고 과도한 입국제한 조치의 자제를 당부할 계획이지만,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공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외교부가 집계한 6일 오전 10시 기준 한국발 여행자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절차를 강화한 국가·지역은 총 102곳으로 전날 밤보다 아프리카 모리타니와 브르키나파소 2곳이 추가됐다. 모리타니는 한국과 중국, 이란, 이탈리아를 방문한 뒤 입국한 외국인에 대해 14일간 지정시설에서 격리한다는 방침을 발표했고, 부르키나파소는 모든 입국자에 대해 발열검사를 하고 증상이 있으면 격리 뒤 정밀 검사를 진행한다.
유형별로는 한국 전역에 대한 입국금지가 37개국, 한국 일부 지역에 대한 입국금지가 6개국이다. 9일부터 한국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 금지, 2주간 격리 등의 조처를 하겠다고 발표한 일본은 현재는 ‘일부지역에 대한 입국금지국’으로 분류돼 있다. 2주간 격리조치를 취하는 곳은 15개국으로, 모리타니와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부룬디 등 4곳이 늘었다.
중국은 베이징·상하이·톈진·충칭·광둥·산둥·랴오닝성 등 17개 지역에서 격리 조치를 하고 있다. 중국의 22개성·4개 직할시·5개 자치 지역 가운데 주요 지역이 대부분 한국인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격리 조치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검역강화나 자가격리 권고, 발열검사 등의 입국 규제를 하는 국가는 44곳이다.
세계 각국의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 사항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