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외교

우한 교민 367명 탄 전세기, 김포공항 도착

등록 2020-01-31 08:02수정 2020-01-31 11:37

현지 검역서 ‘무증상자’만 탑승…“한국측 꼼꼼한 검역으로 출발 늦어져”
오전 8시께 김포공항 도착…한중 당국, 2차 전세기 운항 협의
중국 후베이성 우한과 인근에서 철수하는 한국인 367명을 실은 정부 전세기가 31일 오전 김포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중국 후베이성 우한과 인근에서 철수하는 한국인 367명을 실은 정부 전세기가 31일 오전 김포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원지로 봉쇄돼 있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과 인근에서 철수하는 한국인 367명을 실은 정부 전세기가 31일 오전 8시 김포공항에 귀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들이 탑승한 대한항공 KE KE9884편 보잉747 여객기는 이날 한국시간으로 오전 6시3분(현지시간 오전 5시 3분) 우한 톈허공항을 이륙한 뒤 약 2시간 만에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중국 우한 거주 교민들을 실은 정부 전세기가 31일 오전 김포공항 주기장에 도착하자 검역 관계자들과 구급차가 다가가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중국 우한 거주 교민들을 실은 정부 전세기가 31일 오전 김포공항 주기장에 도착하자 검역 관계자들과 구급차가 다가가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1차로 귀국한 탑승객들은 우한과 인근 지역에서 전세기 탑승을 신청한 720여명 중 약 절반으로, 총영사관 공지에 따라 한국시간으로 전날 오후 9시까지 공항에 집결했다.

이들은 공항 건물 외부에서 중국 당국의 1차 체온 측정을 거친 뒤 공항 내부로 들어와 발권, 중국 측 2차 체온 측정, 보안검색, 한국 측 검역을 거쳐 ‘무증상자’만 비행기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예상보다 출발이 늦어진 데 대해 “중국 당국의 검역 후 한국 측 검역 과정이 매우 꼼꼼하게 진행돼 오래 걸린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모두 마스크를 착용한 채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차분한 상황에서 발권과 검역이 이뤄졌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중국 우한에서 온 교민들이 31일 오전 김포공항에 착륙한 전세기에서 내려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중국 우한에서 온 교민들이 31일 오전 김포공항에 착륙한 전세기에서 내려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김포공항/공동취재사진

이들의 탑승을 지원한 정부 신속대응팀과 대한항공 승무원 등도 함께 돌아왔다.

탑승객은 김포공항에서 비행기에서 내리는 대로 다시 검역 절차를 거치게 된다. 국내 검역에서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은 임시 숙소인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으로 나눠 수용된다. 의심 증상이 나올 경우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으로 즉시 이송된다.

정부는 나머지 탑승 신청자를 태우기 위한 추가 전세기 운항 협의를 중국 당국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영상] 1.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영상]

“대통령이 사기 친 것처럼 발표”…차관 질책한 권성동 2.

“대통령이 사기 친 것처럼 발표”…차관 질책한 권성동

[영상] 1분15초 만에 들통난 윤석열 ‘거짓말 영상’, 실소 터진 민주당 3.

[영상] 1분15초 만에 들통난 윤석열 ‘거짓말 영상’, 실소 터진 민주당

내란사태 2달…군 서열 ‘넘버 9’ 김선호 국방차관의 재발견 4.

내란사태 2달…군 서열 ‘넘버 9’ 김선호 국방차관의 재발견

‘조기 대선’ 금기어 국힘…갈 길 바쁜 예비주자들 ‘각개전투’ 5.

‘조기 대선’ 금기어 국힘…갈 길 바쁜 예비주자들 ‘각개전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