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외교

문 대통령, 24일 아침 트럼프와 회담…3차 북-미 회담 밑돌놓기 주력

등록 2019-09-23 17:20수정 2019-09-23 21:19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후(현지시각) 뉴욕JFK 공항에 도착한 후 차량에서 이동을 기다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과 한미정상 회담 등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 뉴욕/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2일 오후(현지시각) 뉴욕JFK 공항에 도착한 후 차량에서 이동을 기다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과 한미정상 회담 등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 뉴욕/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각) 뉴욕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한국시각으로 24일 이른 아침이다. 문 대통령이 예정에 없던 유엔총회 참석을 결정한 핵심 일정이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공을 들여 나눌 대화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이다. 청와대는 19일 이번 회담의 3대 예상 의제를 밝혔는데, 이 문제는 “한미동맹 공고화 방안”과 “(한-일 갈등 등) 역내 현안”을 제치고 첫손에 꼽혔다.

요컨대 문 대통령의 뉴욕행은 임박한 북-미 실무협상 재개와 연내 3차 북-미 정상회담을 현실화할 밑돌 놓기 포석이다. 문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북-미 실무협상의 성격을 “3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것이라 규정하고는 “아마도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 도정에서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의미는, 4월11일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과 비교를 통해 가늠할 수 있다. 4·11 워싱턴 회담은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으로 휘청이던 한반도 평화 과정의 지속을 위한 두개의 밑돌을 놓았다. 첫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협상 궤도 이탈 방지. 4·11 회담 다음날인 4월12일 김정은 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한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며 “올해말까지는 인내심을 갖고 미국의 용단을 기다려볼 것”이라고 ‘화답’했다. 둘째, 문 대통령은 4·11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초청했고, 이는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계기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과 6·30 판문점 남·북·미 정상 만남으로 이어졌다. 남·북·미 정상이 주도하는 이른바 ‘톱다운 외교’의 재가동이다.

한-미 정상의 4·11 회담이 하노이 이후 상황 추스르기에 초점을 맞췄다면, 9·24 회담은 임박한 북-미 실무협상을 연내 3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갈 밑돌 놓기에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방미 일정 발표 사흘 뒤인 16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남·북·미 정상의 변함없는 신뢰와 평화에 대한 의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북-미가 최근 우호적 발언을 쏟아내며 협상 재개 환경을 만들고 있지만 여전히 견해차가 크다는 점이다. 핵심은 ‘(비핵화 최종 목표를 담은) 포괄적 합의’를 압박하는 미국과 ‘(신뢰 수준에 맞춘) 단계적 합의’를 고수해온 북쪽의 엇갈림을 절충할 수 있느냐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2일 뉴욕 기자회견에서 “(북-미) 실무협상에서 (비핵화) 로드맵(청사진)을 만들어내야 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밝혔다. 협상 의제와 관련해 강 장관은 “안전보장과 제재 해제 문제, 이런 모든 것을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한다는 게 미측의 기본 입장”이라고 전했는데, ‘제재’ 문제에서 미국 쪽이 지금까지와 달리 얼마나 유연성을 발휘할지가 변수다. 하노이 회담 전인 2월19일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협상카드’로 써달라고 한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사업까지” 제안은 여전히 유효한데, 최근 “어쩌면 새로운 방법이 매우 좋을지도 모른다”고 한 트럼프 대통령이 9·24 뉴욕회담에서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관심사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23일 “적대정책을 유지하며 신뢰를 쌓기는 어렵다”고 전제하고는 “하노이에서 확인된 북-미의 입장 차를 좁히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하노이 회담으로 어긋난 북-미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제훈 선임기자, 뉴욕/성연철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대검 ‘구름다리 틴팅’ 사건…막무가내 징조 5년 전 그날 1.

윤석열 대검 ‘구름다리 틴팅’ 사건…막무가내 징조 5년 전 그날

이재명, 외신 인터뷰서 “민주당 주된 가치는 실용주의” 2.

이재명, 외신 인터뷰서 “민주당 주된 가치는 실용주의”

김경수 “대선 승리만이 탄핵의 완성…크게 하나가 돼야 이긴다” 3.

김경수 “대선 승리만이 탄핵의 완성…크게 하나가 돼야 이긴다”

국힘 논리대로면 ‘다 법조 선후배’ 윤석열은 누가 재판하나 4.

국힘 논리대로면 ‘다 법조 선후배’ 윤석열은 누가 재판하나

최상목, 공관장 인사는 했다…대사 11명에 신임장 5.

최상목, 공관장 인사는 했다…대사 11명에 신임장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