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3일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포괄적 핵폐기에 대한 로드맵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며 북-미 양쪽이 모두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화 장관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대상 회견에서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북-미 사이에 비핵화 협상 테이블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또 “아주 포괄적인 그림이 필요하다. 그것이 논의의 출발점이다”라고 말했다.
강 장관의 이 발언은 전날 내신 브리핑에서 “북한이 스코프(범위)를 좀더 넓혀서 포괄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 사안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해서는 북쪽이 ‘영변 핵시설 폐기에서 범위를 넓혀 비핵화 전반에 대한 논의에 응해야 한다’는 취지로 북쪽의 태도 변화를 거듭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강 장관은 이날 “미국과 북한이 공통의 토대를 찾아 진전을 이뤄야 한다. 양자가 유연성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미국도 ‘일괄타결’ 방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에둘러 지적했다.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 강 장관은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차 북-미 정상회담 당시) 하노이를 찾았을 때 확고한 조치들을 준비해 왔는데 미국 입장에선 충분하지 않았다”며 확고한 제안을 갖고 왔다는 점은 비핵화 의지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일본이 역사 문제를 국내 정치에 이용해 문제를 증폭하는 경향이 있어 아쉽다”고 말한 데 대해 이날 한 일본 언론 기자는 “일본에서는 한국이 3·1운동 100주년, 친일청산 등 역사 문제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외교부에서 잘못된 보고를 올린 것 아니냐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강 장관은 “대통령께서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싶다는 진정한 의지를 가지고 계신다. 3·1운동 100주년을 정부가 축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국 정부가 국내적으로 역사 문제를 이용하려 한다고 보는 것이 오히려 (일본이) 정치적으로 이 사안을 보는 게 아닌가 싶다”고 반박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