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외교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강 장관은 "나루히토 천황 즉위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일본과는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일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스코프(scope·범위)를 좀 더 넓혀서 포괄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 사안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연 내신 브리핑에서 ‘현재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미국의 눈높이 낮추기 가운데 무엇이 필요하냐’는 질문에 “미국은 기본적으로 포괄적인 접근을 갖고 포괄적인 대화를 원하고 있다”며 이렇게 답했다.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해서는 북쪽이 ‘영변 핵시설 폐기에서 범위를 넓혀 비핵화의 전반에 대한 논의에 응해야 한다’는 취지로 북쪽의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고 풀이된다.
강 장관은 현재 북-미가 “다소 소강상태”에 있지만 “남·북·미 정상들의 의지를 바탕으로 외교적 노력은 수면하에서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특사 등을 포함해 여러 가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북 인도지원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다는 기본입장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국제사회의 의지가 있어야 되고 모아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8일께 방한해 열리는 한-미 워킹그룹 회의에서 대북 인도지원 관련 논의도 예정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외교부 쪽에서는 대북 지원 결정이 나오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강 장관은 이날 한-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역사 문제로 인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의지도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관계의 개선을 위한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일 외교 당국 간 대화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들의 국내 주식 매각 절차에 돌입한 데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권리 행사가 진행되고 있는 절차라는 차원에서 우리 정부가 어떤 개입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