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5월26일 오후 판문점 북쪽 통일각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서훈 국정원장(왼쪽)과 김영철 북 통일전선부장(오른쪽 둘째)이 배석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공식화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요청하면서 향후 남북, 북-미, 한-미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이후 한반도 정세가 정상 간의 ‘톱다운’ 방식에 의존해온 점에 비춰보면, 올해 상반기 정상회담 일정 하나하나가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선, 우리 정부가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계기 삼아 4월 말을 전후로 남북정상회담 일정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판문점에서 실무적인 ‘원포인트’ 남북정상회담을 목표로 한다면 4월 말 개최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과 같은 복잡한 의전이나 준비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북한의 전략적 시간표 및 이에 따른 북한의 수용 여부와 직결된 문제여서 단정하기는 어렵다. 일부에선 4월 말 남북정상회담이 어려울 경우, 지난해 5월26일 판문점 북쪽 지역에서 두번째로 열린 남북정상회담 1주년에 즈음해 개최될 가능성도 제기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그의 5월 말 일본 국빈방문이나 6월 말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 등을 계기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20개국 회의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어 이르면 5월 말을 전후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이뤄질 수 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한-미 정상회담 뒤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까운 시일 내 방한해줄 것을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초청에 사의를 표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쪽 반응이 긍정적이었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판문점 등에서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3자 정상회담을 한다면 종전선언과 같은 무게 있는 행사가 뒷받침돼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북-미 간 이견이 상당히 해소돼야 한다. 현재로선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쉽지도 않은 상황인 셈이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